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탄소중립’으로 가는 빠른 길은
농촌의 순환경제에 초점 두고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서
환경친화적 전환을 목표로 해야...

농촌현장부터 자발적 참여해야
농업을 ‘녹색산업’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다..."

▲ 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오늘날 지구촌은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인 코로나 팬데믹 현상 못지않은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현재 지구는 위기다. 이는 인간의 총체적 삶의 위기로 연결되고 있다. 기후 의존산업인 농업분야에 미치는 피해의 파장도 점점 커지고 있다. 작물 생육시기가 불균형적이고 병해충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작물의 흉·풍작이 심해 가격등락도 예측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농사는 하늘이 짓는다’는 말을 새삼 절감케 한다.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인 1850년에 비해 1.09℃ 상승했다. 계속 올라가는 지구의 온도에 위기감을 느낀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기후협정을 맺어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이 실현돼야 한다고 선언했다. ‘탄소중립’은 교토의정서(1997년)에서 규정한 6대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순배출 제로화(0)를 의미한다. 지구를 구해야 한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된 탄소중립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우리 정부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농업은 원래 탄소중립적인 산업이다. 작물 생산과정에서 자연적·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농작물이 광합성을 통해 다시 흡수하고 있어 순환적이다. 그런데 작물 생산성 향상을 위해 투입하는 유기물과 비료·농약, 벼농사의 담수상태, 축산업 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메탄·아산화질소 배출이 불가피하다. 그렇다보니 농업이 지구온난화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실 농업분야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발생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9%에 불과하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피해는 기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농업에서 가장 클 수밖에 없다. 기후위기를 초래한 온실가스는 산업화경제시스템뿐 아니라 우리 생활방식에서 비롯됐다. 우리 농업인 입장에서는 억울한 면도 있지만 농업경영에 있어서 온실가스 유발과 연관해 온실가스 저감활동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우선 천연자원을 절약하는 환경친화적 영농법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비료·농약 등 화학농자재 투입과 휘발유·경유·등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최대한 감축해야 한다. 가축 사료도 단백질 함량을 낮추면 지구온난화지수를 크게 높이는 아산화질소 발생량을 줄일 수 있고, 가축분뇨에 정화시설인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활용하면 온실가스 감축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시골에서 폐비닐을 태우는 장면을 가끔씩 볼 수 있는데, 비닐을 태우면 다이옥신이나 환경호르몬 발생 문제가 크다. 이 물질이 사람이나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오면 암을 유발한다고 한다. 그래서 쓰레기는 반드시 분리배출하고, 폐영농자재는 별도로 모아 처리업체를 통해 수거되도록 해야 한다.

지구의 해열제는 목초지나 습지, 숲에서 찾아야 한다. 우리 주변의 숲과 농경지가 사라지면 지구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농촌주변의 푸른 자연환경을 잘 보존해 가야 한다. 이 밖에도 육식보다 채식을, 장거리 식품보다 로컬푸드를 선택해야 한다. 포장을 줄이거나 비닐·플라스틱 사용을 줄여야 한다. 하나하나 생각해보면 온실가스 감축활동들이 많다. 

아무튼 ‘탄소중립’으로 빠르게 가는 길은 농촌의 순환경제에 초점을 두고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략’을 통해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의 환경친화적 전환을 목표로 세워 나아가야 한다. 농촌현장에서 자발적 참여가 전제돼야 농업을 ‘녹색산업’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