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에너지공단 탄소중립위원회에 따르면 2001년 1.2% 처음 재생에너지가 도입돼 현재 발전비중이 6.2% 수준이다. 앞으로 8년 동안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따른 재생에너지발전시설을 4배나 만들어야 하는데 부지면적만 합쳐도 광역시 크기다.

시설 구축과 제도 마련에 시간도 빠듯한데 비싸고 비효율적이라는 주민들의 반발까지 이어지면서 사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산물이 재배돼야 할 부지에 태양광시설과 풍력발전기가 줄지어 서면서 자연경관을 해치고 있어서다.

한해 농사를 잘 짓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농업인들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고 재생에너지가 농촌에 왜 필요한지 충분한 교육과 소통이 없이 사업이 진행되면서 감정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 인터뷰에서 한 농촌여성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얼굴을 마주하지 못하다가 한해를 마무리하는 행사를 통해 오랜만에 모인 자리에 참석하게 됐다고 말했다. 농촌여성은 탄소중립 슬로건을 들고 실천결의에 참여하면서 갑작스러웠다는 소감을 전했다.

탄소중립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와, 다른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를 농업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선례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군중심리로 슬로건을 흔들고 목소리를 냈다는 데 따른 의문이었다. 그는 탄소중립이 PLS제도처럼 꼭 지켜 나가야한다는 인식이 농촌에 널리 홍보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부는 탄소중립 공감대 확산을 위해 농업·농촌을 지키며 힘들게 식량안보를 사수하고 있는 지역주민을 설득하는 지혜부터 발휘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