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이어진 코로나로 생산·소비 위축

고령화와 인구감소에 따른 인력난 여전

2021년 신축년 해가 저물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일 년 내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소의 끈기로 잘 버텨왔지만 아직도 그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두운 터널은 우리에게 기약 없는 인고의 시간을 강요하고 있다. 국가적인 위기 상황이지만 우리 농업·농촌에 드리운 고난의 그늘은 훨씬 더 깊고 짙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소멸위기에 처한 곳이 농촌이다. 농가 수는 20년 전보다 약 35만 가구가 줄었고, 농가인구도 10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귀농귀촌 가구도 최근 5년새 증감을 반복하며 감소세를 보이다 작년에 약간 증가했지만, 귀농가구원의 나이는 50~60대가 67.5%를 차지하고, 74.1%가 1인 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이러한 귀농귀촌 추세로는 농촌활력화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도농 소득격차도 여전하다. 작년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재난지원금과 농업보조금, 재해보험금 등 이전소득이 늘고, 자연재해로 노지작물의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올라 농가소득이 증가하긴 했지만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에 대비한 농가소득 비율은 62.2%에 불과하다. 복지·교육·의료·문화 인프라도 열악해 도시민의 농촌행을 가로막고 있다. 

올해도 농업분야에 창궐한 과수화상병, 아프리카돼지열병,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 악성전염병과 가뭄과 장마 등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농산물 생산에 악영향을 미쳐 농가들의 영농의욕을 꺾어놓았고, 특히 2년째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는 농업인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수급에 막대한 지장을 줬다.

수확기를 넘어서면서부터는 전년에 비해 작황이 좋았던 벼농사가 쌀값 하락에 울상이다. 정부가 쌀 변동직불제를 폐지하는 대신 쌀 자동시장격리제를 도입해 선제적으로 쌀값 하락을 막겠다고 했지만, 시장격리 요건을 갖췄음에도 정부가 수수방관하고 있어 농업계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찬바람이 불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에서 하루가 멀다고 발생하고 있어 가금농가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고, 산란계 살처분으로 인한 계란파동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소비자들도 노심초사하고 있다. 야생멧돼지에서 검출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도 양돈농가로 언제 또다시 전파될지 모르는 살얼음판이다. 글로벌 경제 확산으로 인한 연이은 시장개방도 우리 농업에 적신호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은 농업분야에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농업농촌은 고령화와 인력 부족, 낮은 소득, 정주여건의 미비, 자연재해, 불안정한 농산물 수급, 국내외 농업환경을 둘러싼 불리한 여건, 적은 농업예산,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지속가능성을 심각히 위협받고 있다. 2021년이 저무는 현시점에서도, 그리고 다가올 새해에도 이러한 악재는 쉽게 사라지지 않고, 농업농촌을 옥죌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중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국민들에게 힐링공간을 내어주는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그렇기에 내년 치러지는 대선과 지방선거가 우리 농업인들에게 중요할 수밖에 없다. 농업철학이 바로선 대통령과 지자체장이 선출되도록 농업인들이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