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광희 칼럼 - 누리백경(百景)(210)

여러해 전, 세계의 저명 과학자들이 모여 인적요인, 자연재해 등의 다양한 요인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앞으로 80년 뒤인 2100년에 사라질 위험이 있는 세계의 7대 도시를 선정해 발표한 적이 있다.
그 7대 ‘소멸도시’는, 1.미국 샌프란시스코 2.미국 디트로이트 3.이탈리아 베네치아(베니스) 4.멕시코시티 5.이탈리아 나폴리 6.말리 팀북투 7.러시아 이바노보 등이다.

먼저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지질학적으로 위험한 항구도시 특성상 지진이 소멸이유로 꼽혔다. 미국 디트로이트는 인구유출과 감소,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물의 도시’인 탓에 도시가 물속에 가라앉는 수몰이 소멸 이유다.

또한 멕시코시티는 식수부족과 도시 지반침하, 이탈리아 나폴리는 기원전 79년 폼페이 도시 전체를 용암과 화산재로 쓸어버린 베스비우스 화산의 폭발위험이 소멸 이유다. 그리고 1000년 역사를 가진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 말리의 팀북투는 도시 사막화, 옛 소련시대에 섬유산업 중심지였던 러시아의 이바노바는, 섬유산업 퇴행과 함께 젊은이들이 대거 대도시(모스크바)로 빠져나가 ‘인구 유출’이 소멸 이유로 꼽혔다.

# 그런가 하면,이웃나라 일본은 도쿄를 비롯한 대도시 지역의 빠른 고령화 확산으로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 전체의 빈집은, 2018년 기준으로 총 846만채. 이중 도쿄, 오사카,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등 4개 대도시의 빈집 수가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럽 역시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지자체가 빠르게 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나라들은 인구감소 지자체들이 발벗고 나서서 ‘1유로(약 1367원)짜리 주택’을 도입하고, 무료 빈집제공, 노인용 자율주행버스 운행과 취업알선, 육아지원 등 거주민들의 생존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 ‘소멸도시’는 비단 외국만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역시 이른바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전국지방자치단체 89곳을 정부가 ‘인구감소지역’으로 최근 지정하고, 재정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경북과 전남이 각각 16곳, 강원 12곳, 경남 11곳, 전북 10곳, 충남 9곳, 충북 6곳이다. 부산, 대구 등 도심공동화 등으로 인구감소가 나타나는 비수도권 광역시에도 총 5개구가 포함됐다.

이와같은 인구감소세는, 인구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저출산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계기로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들이 소멸위기 탈출을 위해 청년유치, 일자리 창출, 출산율 제고와 관련한 각종 정책들을 부산하게 쏟아내놓고 있으나, 만시지탄의 고육책이란 생각이 들어 아쉬움이 크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