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2050’ 계획에 친환경농기계 개발 뒷전

 내연기관 농기계 동력원 대체할 연구개발 서둘러야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탄소저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지난해 10월 선언한 ‘2050 탄소중립’의 구체적 실행방안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이정표가 마련된 것이다. 시나리오에 의하면,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방안과 액화천연가스 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탄소포집·이용·저장기술 등 온실가스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 등 두 가지로 구성돼 있는데, 두 방안 모두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제로다.

이에 세계 각국이 2020~2030년께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 중단을 선언하고, 우리나라도 내연기관 자동차 퇴출 계획을 발표하며 전기·수소차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대부분 동력엔진을 탑재한 농기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계획도 마련돼야 할 시점이다.

이번에 발표된 정부의 농축수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내용을 들여다보면, 저탄소 영농법, 저메탄 사료 공급 확대, 폐기물 감량·재활용 제고, 바이오 플라스틱 보급 추진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친환경 영농자재로의 전환과 영농법 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 계획 외에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동력농기계에 대한 대책은 미흡하다.

농촌진흥청의 탄소저감 농업기술 개발 계획에서도 내연기관 탑재 농기계에 대한 구체적 탄소저감 방안을 찾아보기 힘들다.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통한 국가 고유계수 개발, 탄소저감 물관리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비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반추가축 메탄 저감 사료 소재 발굴, 태양광·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농업시설 복합열원 이용 모델 개발 등이 탄소저감과 기후변화에 대응한 주된 연구개발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농진청은 전체 예산(1조1855억 원)의 약 10%인 1001억 원을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지원 연구개발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에 의하면, 국내 농가에 보급된 농기계 대수는 2000년 156만 대에서 2020년 109만7천 대로 약 1/3이 줄었다. 이중 트랙터와 콤바인 등 대형농기계는 2007년 32만9천 대에서 2020년 377만 대로 증가한 반면, 경운기는 같은 기간에 77만1천 대에서 53만9천 대로 감소하는 등 농기계 대형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정부는 농업인력 부족과 고령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농업기계화율을 더욱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 해결은 전 인류에게 주어진 숙제다. 농업분야에서도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도 무시 못 한다. 이에 정부가 계획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좀 더 면밀한 방안을 수립해 대비해나가야 한다.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전기·수소 등을 연료로 한 미래형 친환경자동차가 속속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 이를 농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탄소 제로 시대가 머지않았다. 탄소저감 개발과 함께 탄소제로를 위한 한 발 앞서나가는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부의 이에 대한 과감한 지원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