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통계가 조사기관마다 서로 달라 농업인들의 재배면적·출하 결정에 혼선을 주고, 정부의 수급대책 수립에도 영향을 미쳐 농가소득과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통계청은 주요 작물의 재배, 수확 시점에 즈음해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발표하고 있지만, 이 통계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결과와 달라 농업인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국회 기획재정위 정운천 의원에 의하면, 통계청은 지난 4월 재배면적 표본조사를 통해 올해 조생양파 재배면적을 지난해보다 24.4% 감소한 1500㏊로 추정했는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의 추정치는 이와 반대로 전년보다 9.4% 증가한 2936㏊였다. 통계청의 통계자료를 감안하면 생산량 감소로 시장가격이 상승해야 하지만, 실제 4월말 양파값은 작년보다 약 30% 낮은 가격에 거래돼 정부기관의 통계에 농업인과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지난해 평균 농가소득도 통계청이 1인 가구를 제외하고 역대최고인 4503만 원이라고 발표한 반면, 농경연 조사에 의하면 1인 가구를 포함했을 경우엔 여전히 3000만 원대여서 농업통계에 대한 농업인들의 불신이 크다. 몰론, 공장에서 찍어내는 공산품과 달리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농업의 경우, 정확한 통계를 만들어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 통계를 보고 한 해 농사를 준비하는 농업인들에게는 무엇보다 중요한 참고자료가 아닐 수 없다. 생산 과잉으로 애써 키운 농작물을 밭에서 갈아엎는 아픔이 되풀이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국가기관의 농업통계 작성과정에 더 과학적이고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