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부 대표농정 중 하나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이다. 2018년 90억 원을 투입해 1500명에게 신규로 월 최대 100만 원씩을 지원해주는 이 사업은 내년 2000명까지 늘어난다. 저밀도 사회 수요가 늘면서 농업과 농촌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들이 늘어났고, 무일푼으로 도전하는 청년을 위한 최소한의 종잣돈으로 미래가 기대되는 사업이란 평가다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

최근 경기도 용인에서 대상자로 선정된 청년을 만났다. 그는 부모의 뒤를 이어 화훼업에 도전하고 있는데 독립경영농으로 본인 명의의 농지나 시설을 올해 안으로 마련해야 하지만 몇 년 사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땅값 때문에 고민이 컸다. 지금 터를 잡고 있는 지역에선 도저히 방법이 없어 경기도 외곽지역으로 이전할 곳을 알아보고 있다는 그는 이런 현실을 반영한 정책의 융통성이 필요하단 의견이다.

땅값문제는 사실 수도권이 아니더라도 청년농업인의 가장 큰 고민거리지만 특히 경기도지역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농지나 시설을 마련하는 기간을 지역에 따라 차이를 두는 방안이 그래서 필요하다.

최근 23조5000억 원이 편성된 청년예산도 우려스럽다. 코로나로 위축된 일자리, 고공행진하는 집값으로 악화된 청년 표심을 잡기 위한 편성으로 취지에 공감하지만 채용장려금과 무이자 월세대출 등 도시청년에 집중된 예산 일색이다. 도시청년을 위한 예산쏠림이 자칫 농촌청년을 위한 예산을 전용하는 일은 없어야 할텐데 장담할 수 없는 일이다. 힘들게 틔운 농업의 새싹들을 또다시 꺾는다면 그간의 노력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