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업기술원을 포함한 많은 기관들이 탄소중립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구의 생존을 위해 2050년까지 온도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시점에다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가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이 함께 맞물리며 앞다퉈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이는 분명 환영할 일이다.

허나 중간물떼기나 논물걸러대기, 벼 대체작물 전환 등은 추진 중이거나 목표치를 달성한 사업들이다. 이들을 탄소중립 대표사업으로 내세우고 있는 건 농업이 가진 탄소의 저장과 흡수기능을 대내외 알릴 절호의 기회임에도 이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이미 2011년 저탄소 농업을 실천하자며 온실가스를 줄이는 신제형 비료 개발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인증제도인 농산물 탄소표시제를 대대적으로 홍보했었다. 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후순위로 밀려 흐지부지되며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잃어버린 10년이 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탄소 농업을 위한 정책들이 꾸준히 추진됐다면 저탄소사회의 한자리를 농업이 굳건히 지키고 있지 않았을까.

최근 첨단기술을 접목해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저감에 나서기로 한 점은 다행스럽다. 다만 과거처럼 모두의 이목이 쏠려있단 이유로 수박겉핥기나 적당주의로 대처한다면 또다시 제자리일 것이다. 지난 10년처럼.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