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농정을 말한다-경상북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농촌에서 도시보다 아이를 많이 낳더라도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필요한 인프라가 부족해 부모와 아이가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군지역에서 태어난 아동은 유치원에 입학하는 만 3세에 시나 구지역으로 이탈하고, 만 6세에 이탈자가 크게 증가했다. 결국 아이들에게 양질의 보육과 교육서비스가 있어야야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지는 각 지자체의 보육정책을 살펴본다.

▲ 올해 경주에 처음 지원된 이동식 놀이교실 차량

아이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보육서비스 구축
비대면 시대 적합한 ‘이동식 놀이교실’ 신규 지원

돈보다 환경구축에 초점
단순한 출산장려금의 제공은 저출산 극복 효과가 크지 않다는 사실이 속속 입증되고 있다. 결국 이보다 아이를 출산하면 지역사회가 함께 돌봐줄 수 있는 육아와 보육환경 구축이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경상북도는 다양한 영유아 보육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농촌보육정보센터 8곳에 9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곳은 농촌의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핵심기관으로 어린이집, 공부방 등 농촌의 돌봄기능에다 아이를 가진 여성농업인의 고충해결과 문화활동 등 종합지원기관의 역할 수행하고 있다.

경상북도 농업정책과 정민호 주무관(사진)은 “아이를 케어하는 것뿐 아니라 어머니들이 농촌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진행하고 있다”면서 “특히 한국문화에 익숙치 않은 다문화여성들도 이곳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속적인 영유아 수 감소와 지난해 코로나19 관련예산이 대폭 늘어난 여파로 9곳에 1억2000만 원의 예산이 지원되던 것이 줄어들어 정 주무관은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래서 농촌보육정보센터의 운영지침을 변경했다. 영아가 없는 시·군에서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해 보육에만 한정돼 활동영역이 감소되는 점을 감안해 이곳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초등학생 이상 아이들을 위해선 ‘사랑의 공부방’ 지원도 하고 있다. YMCA 위탁을 통해 방과 후부터 오후 6시까지 교과목과 특기교육을 하고 있는데 경상북도는 1곳당 2000만 원의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야외체험할동과 방학기간 특별활동도 하는 사랑의 공부방은 농업인들이 영농활동에 전념하고, 아이들이 또래집단과 정서교류를 통해 농촌의 교육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찾아가는 서비스
농촌지역의 가임기 여성은 도시보다 수적으로 적지만 결혼하면 자녀를 도시보다 많이 낳는 경향이 확인됐다. 국가적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농촌의 보육환경 개선은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단 뜻이다. 물론 인구가 절대적으로 적은 농촌에서 도시만큼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시설을 갖추는 건 한정된 예산으로 어렵다. 최대한의 보육서비스를 많은 지역에 제공하기 위해 올해 신규로 이동식 놀이교실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되는 곳은 경주시다.

이동식 놀이교실은 장난감과 놀이기구, 도서 등을 차량에 탑재하고 신청을 받아 해당지역으로 이동해 아이와 부모의 교감을 돕는 서비스다. 담당자가 신청한 가정을 방문해 다양한 놀이법을 지도해주고 육아정보도 알려주며 농촌 맞춤형의 육아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중교통 시스템이 부족하고, 차량이동에 부담을 갖고 있는 여성농업인에게 큰 힘이 될 전망이다. 경주시는 2대의 차량을 임차하고 기사와 보육전문가, 그리고 보조교사 등 3명이 팀을 이뤄 경주를 동서남북으로 나눠 효율적으로 움직일 계획이다. 최대한 많은 가정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정 주무관은 “농촌에 기본적으로 키즈카페 같은 보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코로나19로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것이 힘든 현실에서 이동식 놀이교실은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도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농촌을 만드는 다양한 서비스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