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릴레이 기획···여성농업인단체장에게 듣는다(4)-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양옥희 회장

▲ 양옥희 회장은 도시 출신으로 전원일기 속 목가적 농촌생활을 동경했으나, 농민활동가와 결혼해 20여년 넘게 전여농 활동으로 여성농민의 권리와 지위향상에 앞장서 왔다. 정읍에서 수도작을 하고 있다.

농촌형 성평등 전문강사 양성-청년여성 농민메토학교 진행

>> 전여농의 절절한 아스팔트농사 30년의 결실···공동경영주제도, 농촌여성정책팀 신설

뭉치면 힘이 되듯, 여성농업인 권익과 지위향상을 위해 여성농업인단체들의 역할은 컸다.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와 여성농업인 복지바우처 등의 실효성 있는 정책들도 여성농업인단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뤄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성농업인들은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책임지며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우리의 농촌을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곳으로 가꾸고, 우리의 토종종자와 전통문화를 보전하고 이어나가는 동시에, 농촌 돌봄의 사각지대를 보살피는 등 다중한 책무를 맡으며 농촌과 농업의 변화의 한 가운데 있다.
디지털 온라인 세상으로의 급진적 변화가 이뤄지는 요즘 여성농업인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또 여성농업인단체들은 어떤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지 여성농업인단체장들과의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다. 네 번째로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양옥희 회장의 목소리를 담았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단체는 어떤 역할을 모색하고 있나?

농업소득의 저하로 여성농민들은 농업노동 외에도 가사노동은 물론 농업외 소득 활동 등 과도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여성농민들은 다양한 역할의 가중으로 인해 정작 자신을 위한 배움에 투자할 시간이 줄어들고 있어 시대의 변화에 뒤처지지는 않을까 많이 걱정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여농은 교육과 회의 등에 디지털을 이용해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급속도로 디지털 활용의 필요성을 느끼고 줌 회의, 영상교육을 활용하며 오히려 남성보다도 여성농민들이 앞서갈 수 있게 하고 있다. 지자체의 주민센터나 정보화센터 등을 활용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여성농민들이 농외소득 활동에 치중해 여유 시간이 없다는 게 가장 안타깝다. 여성농민들도 농사만으로도 자존감을 세울 수 있게 해야 한다.

 

-여성농업인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가?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성평등한 농업정책이 아닌 남성 중심의 정책을 펼치고 있고, 성평등한 농업정책의 실현을 위해 성평등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농가 중심이 아닌 농민 개개인의 농업정책과 특히 여성농민의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는 농민등록제 등 농민 중심의 제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3대가 함께 농사지어도 한집만 농민수당을 받을 수 있고 여성농민은 철저히 배제되고 있다. 전여농이 농정에 반감을 제기하는 것은 관 주도가 아닌 현장 주도의 목소리를 담아 활동하기 때문이다. 현장과 정부의 정책엔 괴리가 있어 간극을 좁히는 현장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 대통령도 농민은 공직자라 얘기한 적이 있다. 농민이 환경을 지키고 국토를 보전하는 역할을 인정한다면 우선 농민의 소득 보장정책이 시급하다. 현재 전북도의 경우 농민수당을 농가가 아닌 개인으로 지급하는 주민발의의 조례 제정을 준비 중인 것은 다행스럽다.

 

-여성농업인정책 중 가장 실효성 있는 정책은?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는 전여농이 힘겹게 싸워서 여성농민의 권리를 보장받은 사업이다. 하지만 농사 외에 다문화지원센터 방과 후 교사 등을 농외소득 활동으로 하고 있는 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다. 여성농업인의 권리를 처음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에 무게감을 두고 있지만 지자체마다 행복바우처의 금액에 차이가 있고, 자부담 있는 점, 매년 카드를 발급하는 등의 낭비요소가 있는 점은 개선돼야 한다.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단체의 역할과 노력, 성과는?

전여농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지위향상과 권리보장을 위해 지난 31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투쟁하고 회원들을 교육해 왔다. 30년 아스팔트농사의 투쟁 결과 공동경영주 등록과 행복바우처 사업, 여성농민 행복바우처사업과 농식품부 여성농민 전담부서 설치 등의 성과를 이끌었다.

또 언니네텃밭 사업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공간을 통해 식량 주권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토종종자 보급사업과 생태농업을 실천하며 종자주권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성평등 강사 교육과 성평등한 마을규약만들기 사업을 통해 가부장적인 농촌문화를 개선하며 청년여성이 안심하고 농촌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에도 주력하고 있다 .

지난해 농식품부가 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진행한 농촌형 성평등 강사단 교육에서 전여농 회원 14명이 자격을 취득해 농촌 맞춤형 성평등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농촌형 성평등 강사의 현장 활용의 기회가 많았으면 한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청년층도 꾸준히 늘고 이다 전여농은 귀농을 준비하는 청년여성을 대상으로 청년여성농민멘토학교를 진행해 청년들의 비빌언덕이 돼주고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만들어가는 일에도 주력하고 있다.

 

-여성농업인의 권익신장과 지위향상을 위한 방안은?

지자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는 꼭 필요하다. 농업기술센터 등의 농기계임대사업 등도 남성 위주여서 여성농민을 위한 농작업편이장비 보급이 확대돼야 한다고 본다.

여성농민의 권익을 위해 전여농뿐 아니라 모든 여성농업인단체가 같이 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함께 어깨동무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사업을 발굴하고 교육도 하면 좋겠다. 단체 소속만 다를 뿐이지 모두 여성농민이다. 식량안보와 식량 위기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지만 농업농촌이 사라지고 있는 이때, 식량안보의 기반을 굳건히 하기 위해 농업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