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이 돌아오는 농업·농촌-경상북도

지난 20년간 40세 미만의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30만7934명에서 8만9687명으로 감소했다. 농업에 종사하는 청년의 감소는 그만큼 매력있는 일자리가 아니란 걸 의미한다. 농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청년의 감소세는 농업의 축소와 농촌의 소멸을 가속화할 가장 위험요소다. 청년이 돌아오는 농업을 위해선 중앙정부의 지원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맞춤정책도 중요한 만큼 본지는 이들을 조명해 본다.

▲ 경상북도는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 213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경북, 청년농업인 육성에 213억 편성…단계별 맞춤지원
목돈 주는 청년농부 육성지원·월급받는 청년농부제 등도 호평

단계별로 맞춤지원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청년들은 영농준비·창농초기·정착이후 등 단계별로 겪는 어려움이 달랐다. 영농준비기엔 기반과 기술, 멘토와 주거 등, 창농초기엔 자금과 농지, 생활비 확보가, 정착이후엔 불편한 생활여건과 여유시간 부족, 힘든 노동을 꼽았다. 최근 주요국들의 청년농의 비중이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과 반대되는 상황은 특히 우려스럽다.

경상북도는 특히 19개 지역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인데 청년이 돌아오는 농업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단 구상이다. 우선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진입·정착·성장 단계별로 지원책을 구분했다. 올해 경상북도는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19개 사업에 213억 원을 편성했다.

농정과 정영락 주무관(사진)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보다 예산총액이 9% 감소했다”면서 “하지만 핵심사업 지원은 동결하거나 늘렸고, 진입단계의 농산업창업지원센터, 정착단계의 청년농부 육성과 월급받는 청년농부제, 성장단계의 창농기반 구축과 청년농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등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산업 예비창업자를 위한 실질적 가이드를 목표로 하는 농산업창업지원센터는 진입단계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경북대학교(대구·상주), 안동대학교, 대구대학교에 설치돼 있다. 그간 창농의 전문적 교육이 부족했다는 판단에서 시작돼 대학의 농대교수를 센터장으로 하고, 창업희망자와 3년 이내 초기 창업자까지 신청할 수 있다. 재학생에만 문호가 열려 있을 거란 생각은 오해다.

정 주무관은 “2018년 운영을 시작했는데 농업과 농촌에 관심있는 청년들의 신청이 늘어나고 있단 걸 체감하고 있다”며 “확대·개편한 농민사관학교와 청년과 예비귀농인이 어려움으로 꼽는 집단교육 대신 일대일 멘토링 위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분화된 자금 지원
청년농업인과 예비 귀농인이 농업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 건 창업자금과 생활자금 조달이다. 신규 진입농가 자금 지원 정책 융자로 후계농업인 육성자금과 귀농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자금과 월 최대 100만 원을 1년간(독립경영 2년차 월 90만 원, 3년차 80만 원) 지원하는 영농정착지원금은 중앙정부의 주요 정책들이다.

경상북도에서는 농식품부의 2018년 시작된 영농정착지원금 사업보다 1년 앞선 청년농부 육성지원사업을 시행했다. 연간 1000만 원을 3년간 지원하는 것으로 올해 수혜자는 93명이다. 단, 농식품부의 지원과는 중복수령할 수 없다.

정영락 주무관은 “매월 지급되는 농식품부 지원과 달리 연간 1000만 원의 목돈이 한꺼번에 지급되기 때문에 영농자재나 기반을 구축하는 장기적인 목적으로 쓰는 게 차이”라고 말했다.

올해 28명이 선정된 월급받는 청년농부제는 창농 목적이 아닌 농업법인에 근무하며 2년간 월 200만 원을 받는 사업으로 경험부족으로 인한 실패를 막는 게 목적이다. 2019년 처음 시행 땐 농업 경험이 일절 없는 청년들이 힘든 농업과 낯선 농촌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 주무관은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농업법인과 청년을 세심하게 매칭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면서 조금씩 정착사례가 늘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착 이후 성장단계 지원으론 청년농커뮤니티 활성화지원이 있다. 고령층과 융화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청년들의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는 모임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3년간 600만 원 지원받을 수 있다. 마을에 남는 공간만 구해오면 활동비로 그곳을 개보수하거나 비품을 장만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지난해 영주에선 코로나19로 구하기 어려워진 마스크 만들기나 도시락 배포 등 농업과 관련된 활동이 아니었지만 이 사업을 통해 희미해져 가는 농촌마을의 공동력을 회복시키는데 일조했다는 호평을 받았다고 정 주무관은 설명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