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세시풍속 -정월대보름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는 말처럼 새해 첫 보름달이 떠오르면 사람들은 둥근 달이 훤히 보이는 곳곳에 서서 두 손을 곱게 모아 진심어린 소원을 빈다. 정월대보름 또는 대보름은 음력 1월15일로,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농경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대보름이 되면 환한 달빛이 어둠과 질병, 재액을 밀어내는 밝음의 상징으로 동제(洞祭)를 지내는 등 마을행사를 연다. 이와함께 개인적인 기복 행사로 부럼깨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시절음식인 복쌈이나 묵은 나물먹기와 달떡을 먹기도 한다. 이밖에 줄다리기·고싸움·돌싸움·쥐불놀이·탈놀이·별신굿 등 공동체를 위한 대보름 행사가 다채롭게 열린다.


귀밝이술 마시고 오곡밥·부럼 먹고
정월대보름에는 ‘상원절식(上元節食)’이라 하여 귀밝이술(이명주)을 마시고 오곡밥과 묵은나물(진채식)을 먹고, 부럼을 깨먹었다.
▲건강 장수식품 ‘오곡밥’ =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의 하나로 일반 평민들이 약밥 대신 쌀과 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는데서 유래됐다. 농촌진흥청 기능성식품과에 따르면 오곡밥에 주로 들어가는 팥은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심혈관계질환, 종양과 스트레스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검정콩은 비만예방효과가 크다. 조는 필수 지방산 섭취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정장작용과 대장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수수는 면역증진효과가 크다.
▲비타민 보충 ‘묵은나물’ = 호박고지, 박고지, 말린 가지, 무시래기, 고사리, 고비, 도라지, 취나물, 고구마순 등 최소 9가지 나물들을 여름이나 가을에 잘 말려두었다가 대보름에 기름에 볶아서 먹는 음식이다. 이런 묵은 나물은 겨우내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을 보충하여 원기를 북돋아 줌으로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도록 도와준다.
▲노화방지 ‘부럼’ = 부럼은 ‘부스럼’의 준말로 부럼을 깰 때 ‘딱’하는 소리에 잡귀가 물러가게 하고, 부럼을 깨야 일년내내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믿었다. 호두, 땅콩 등 견과류는 추위를 이길 수 있는 에너지원이 되는 동시에 암 예방과 노방방지 효과가 있다.

 

 

무사태평 기원 다양한 축제
▲동제(洞祭) = 정월대보름 농촌에서는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에게 주민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기 위해 마을제사인 동제(洞祭)를 지낸다. 동제는 마을단위로 모시는 공동제사로 예전에는 마을에서 행해지는 가장 큰 연중행사였으며 한 마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공동체로 묶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김영 연구사는 “동제는 최근 많이 사라졌으나 우리가 지키고 보전해야 할 지역문화”라며 “변화하는 사회에서 현재 우리의 모습에 맞게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하고, 함께 즐기며, 서로 교류할 수 있는 만남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한다.
▲쥐불놀이 = 논밭의 해충과 세균을 제거하며 마른풀 베기를 쉽게 하고 새싹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쥐불놀이. 대보름날 밤이면 마을마다 아이들은 논두렁, 밭두렁에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일제히 “망월이야”하고 외치면서 밭두렁과 논두렁, 마른 잔디에 불을 놓는다. 이때 불이 사방에서 일어나 장관을 이루는데, 이것을 쥐불놀이 또는 쥐불놓이라 한다.
▲정월대보름의 점치기 = 대보름 밤 사발에 재를 담고, 그 위에 여러 가지 곡식의 씨앗을 담아 지붕 위에 올려놓고 이튿날 아침 씨앗들이 남아 있으면 풍년이 되고, 날아갔거나 떨어졌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나무 그림자 점은 한 자 길이의 나무를 마당 가운데 세워 놓고 자정 무렵 그 나무 비치는 그림자의 길이로써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지신밟기, 다리밟기 = 지신밟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는 민속놀이로 답교(踏橋)라고도 한다. 이 날 다리를 밟으면 1년 동안 다리병이 없고, 열 두 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열 두 달의 액을 면한다고 믿었다. 다리를 많이 지나갈수록 좋다고 해서 성안에 있는 모든 다리를 밟고 지나갔는데 이것을 ‘다름밟기’라고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