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20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 2020년 귀농귀촌실태조사 주요 결과(인포그래픽)

귀농귀촌하는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고,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이 꼽혔다 반면에 귀촌은 직장취업, 정서적 여유 등이 주요 이유였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5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 주요 결과로 최근 5년간(2015~2019) 귀농‧귀촌 4066가구(귀농 2038, 귀촌 2028)의 면접조사로 이뤄졌다.

# U형 귀농 증가세
귀촌 가구 14.7%가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U형은 70대 이상(71.8%),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 없는 곳 이주(I형2)는 40대(18.3%)에서 가장 높았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J형을 귀농 21.1%, 귀촌 28.4%였다.

특징은 U형 귀농의 증가세로 2018년 53.0% → 2019년 54.4% → 2020년 57.6%으로 증가했다. 귀촌 가구의 33.8%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했다.

귀농귀촌 이유로 귀농의 경우와 귀촌의 경우는 차이를 보여 귀농은 자연환경(30.5%),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23.0%), 가업승계(13.1%) 순으로 응답했고 귀촌 이유는 농산업 외 직장취업(24.1%), 정서적 여유(15.3%), 자연환경(13.7%), 저렴한 집값(9.6%) 순으로 응답했다. 특이사항으로 귀촌 가구의 14.7%가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했다.

연령별로는 50~60대 18.7%, 40대 14.1, 30대 이하 13.4, 70대 이상이 7.1%였다.

귀농귀촌 전‧후 가구원 구성을 보면 귀농 前 2인 이상 가구 중 귀농 당시 혼자 이주한 가구는 26.5%, 추후 가구원과 합가한 가구는 이 중 17.9%였다.

홀로 귀농귀촌한 이유는 가구원의 직장(40.0%/50.4%), 자녀교육(25.4/12.5), 영농기반 준비(17.2/9.2), 가족반대(11.2/19.9) 순이었다.

#귀농 교육 이수자가 평균소득 높아

한편 귀농 준비에는 평균적으로 25.8개월 소요, 귀촌 17.7개월로 귀농은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2.2%), 주거·농지 탐색(29.3%), 귀농 교육(12.2%), 자금조달(11.5%), 귀농체험(1.7%) 등을 수행했다.

귀농귀촌 교육은 귀농가구의 47.7%, 귀촌가구의 16.0%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했다.

특이사항은 귀농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농업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귀농 5년차의 소득은 이수 평균은 2988만원, 미이수자는 1277만원이었고, 연차별 소득도 이수자와 미이수자 간에 차이가 발생했다.

귀농귀촌 교육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35.1%), 현장실습 연계 강화(17.6%), 수준별 강좌 개설(17.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귀농귀촌 전‧후 소득 변화를 살펴보면 귀농의 경우 1년차 가구소득은 2782만원, 이후 5년차는 3660만원으로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인 4184만원의 87.5% 수준을 회복했다.

귀촌 1년차 가구소득은 3436만원이며, 이후 5년차 3624만원까지 귀촌 전 평균 가구소득3932만원의 92.2% 수준으로 회복했다.

귀농 가구의 50.1%가 농업생산 활동 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일반직장 취업’(26.6%), ‘임시직’(21.3%), ‘자영업’(19.1%) 순이었고 이유는, 소득을 더 올리려고(84.2%), 재능 활용(7.7%) 순을 꼽았다.

특이사항은 농외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가구와 미수행 가구의 소득은 귀농 초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나, 귀농 연차가 쌓일수록 영농에 집중한 미수행 가구의 소득이 상승해 5년차에 수행 가구의 92% 수준에 도달했다.

귀촌 가구 10가구 중 9가구(88.5%)는 일반직장, 자영업, 농사일, 임시직 등 경제활동을 수행했으며, 경제 활동 수행시 어려움은 ‘지역 내 인프라 부족’(20.7%), ‘능력 부족’(19.9%), ‘시간 부족’(17.3%), ‘기회‧정보 부족’(15.9%) 순으로 응답했다.

귀농 후 재배하고 있는 주소득 작목은 과수(22.5%), 논벼(21.9%), 노지채소(20.2%), 시설채소(10.7%) 순이며, 작목 선택 이유는 재배의 용이성(48.4%), 높은 소득(21.0%), 주변인 권유(16.9%), 지역 특화작목(8.5%) 순이었다.

귀농귀촌 전‧후 지출을 살펴보면 귀농귀촌 前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269만원, 귀촌가구 260만원 수준이나, 귀농귀촌 후 귀농가구 184만원, 귀촌가구 205만원으로 낮아졌다. 생활비는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 교통통신비, 교육비 순으로 지출됐다.

귀농귀촌 후 생활주택 점유형태는 자가(귀농 77.1%, 귀촌 62.4%), 전월세(귀농 19.6%, 귀촌 35.9%), 지원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귀농 3.3%, 귀촌 1.7%) 순이었다.

현재 거주지 선택 이유(귀농/귀촌)는 부모‧자녀‧친척 또는 지인이 살고 있는 연고지(36.6%/22.5%), 이전에 살던 곳(27.9/12.8), 생활환경 편리(8.4/19.4) 순이었다.

지역융화면에선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4.6%, 귀촌 51.4%)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4%, 귀촌 1.9%로 나타났으며, 주요 갈등요인으로 응답자들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집이나 토지 문제 등을 꼽았다.

귀농귀촌 만족도는 10가구 중 6가구(귀농 62.1%, 귀촌 63.3%)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3.1%, 35.4%)는 보통, 불만족은 각각 4.6%, 1.3%였다. 주요 불만족 이유로 귀농은 영농기술․경험부족(33.6%), 자금부족(31.2%),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7.2%), 자금부족(22.6%)이라 답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지역 밀착형 체험‧정보 제공 강화,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 확대 등 귀농‧귀촌 희망자의 사전 준비와 적응력 강화 방안을 마련, 중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