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상중계 - 농업전망2021

■ 코로나 시대 식품·유통의 변혁

▲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온라인 거래방식과 표준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곡물 수급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식량위기 상황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국제 곡물 수급 불안에 대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의 먹거리 정책은 먹거리 불확실성과 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국내 적정 생산기반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옥수수, 밀, 콩 등은 식량 위기에 대비해 최소필요량을 비축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식량위기 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황윤재 연구위원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은 현물 중심으로 
농경연 황윤재 연구위원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기본적인 먹거리가 보장되지 않는 취약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영향이 장기화될 경우 취약계층의 먹거리 불안정성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나라 취약계층 지원정책은 먹거리에 특화된 지원이 부족하며, 주로 현금지원으로 이뤄지면서 먹거리 지원의 정책 목표 달성이 어렵고, 취약계층의 먹거리에 대한 니즈나 선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푸드플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지역별로 지역 먹거리(로컬푸드) 판매·소비 확대에 초점을 맞추거나, 지역민 먹거리 보장, 먹거리 공공성 강화와 관련한 사업이 본격화되지 못한 지역이 존재한다.

이에 황 위원은 특히 “취약계층 대상 먹거리 지원을 현물지원 방식을 중심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식재료용 먹거리를 현물 방식으로 지원하고, 공공급식이나 도시락·반찬 배달 등과 같은 급식·식사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속가능한 지역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먹거리와 연계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중심으로 농산물 유통환경 급변
코로나19 확산으로 감염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농식품 소비 여건에는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소비자의 음식점 방문 횟수는 줄어들고 가정 조리와 배달 음식비중은 크게 증가했다. 대형유통업체와 유통기업의 오프라인 소매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여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자조직의 판로처 비중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김성우 연구위원

농경연 김성우 연구위원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비현물·비대면 거래와 온라인 거래가 확산되는 온택트(on-tact)마케팅이 급속히 늘어날 것이며, 온라인 중심의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산물 유통단계에서 ICT 연계는 생산자, 대형마트, 일반소매점, 재래시장과의 B2B 거래를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단계별 연계효과로 생산자가 예약출하에 의한 수확량을 조절하고 산지출하자는 출하량, 출하시기, 품위 조절을 통한 거래교섭력 제고와 정가수의거래 확대가 가능하다. 농산물 온라인 B2C 거래에서는 산지유통인, 도매시장, 대형유통업체로의 거래 비중이 줄어들 것이며, 기존 대형마트로의 출하가 대규모 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도매시장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위원은 또 “농산물 온라인 B2B 거래 확대를 위해서 산지조직은 농산물산지유통종합센터의 시설을 개선해 농산물 온라인 거래를 위한 소포장, 꾸러미, 가공시설을 보완함과 동시에 상품코드를 표준화해 혼선을 줄이고 정보교류 효율화를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지유통주체는 조직화와 상품화시설 첨단화를 통해 온라인 유통확대에 대응해야 하며, 공영도매시장은 소비지 물류거점시설 육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거래방식의 다양화를 통해 온·오프라인 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산물 유통의 디지털화 촉진을 위해서는 온라인거래소 관리 운영과 분쟁해결,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거버넌스 조직 설치·운영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