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별기고 - 지구를 살리는 올바른 축산②

▲ 이덕배 전북대 동물자원학과 객원교수/전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장

축산기술 혁신 노력과
축산업계 실천이 중요

가축분뇨 문제는 우리 국민들에게 축산업보다는 고기를 외국에서 수입해서 먹자는 의견까지 일게 하고 있다. 가축분뇨 처리에 있어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농작물 재배에 활용하는 것이다.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도 경축순환을 주요과제로 삼고 있다.문제의 해법은 현장 당사자들의 실행력에 달려 있다. 쾌적한 농업과 농촌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축산업계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
농사의 수지를 생산물량 증대로만 이해하는 농가가 있다. 이런 농가는 영업에 필요한 투자비용을 보조금에 주로 의존하며 조수입만 높이려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런 형태의 농업경영은 지출이 커서 수익이 별로 크지 않다. 이 같은 농가는 기술혁신에는 관심이 낮고 정부의 지원정책에만 관심이 높다.

농작물에 대한 비료의 영향처럼 가축에 대한 사료는 대기, 토양, 수질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작물에 따른 비료사용 처방 프로그램은 농업기술센터가 필지 단위로 서비스하고 있지만, 농장 단위 가축 사료급여 프로그램은 회사의 영업활동 영역이다. 그런 연유로 축산농장에서는 사료를 무제한 급여하고, 그렇게 늘어난 가축 배설물은 주로 위탁처리하고 있다. 반대로 퇴비와 액비가 들어갈 농경지는 갈수록 줄고 있다.

필자는 예전에 “네덜란드처럼 사료급여량을 조절해 분뇨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이에 한 축산 컨설턴트는 “축산농가들은 돼지 생산목표 달성을 위해 사료를 120일간 무제한 급여한다. 130일간 제한 급여와 120일간 무제한 급여 간 돼지 생산에 필요한 사료량은 비슷해 현실성이 없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필자는 “두 사양기술 간 사료량이 같고 분뇨배설량도 같다는 전제하에서도, 1년 동안 130일 제한 급여는 2.80배량이 배출되는 반면, 120일 무제한 급여는 3.04배량이 배설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대답했다. 축산업계의 관행인 사료 무제한 급여방식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본다.

가축분뇨 배설량과 성상을 개선하는 축산기술의 개발과 보급에 대한 혁신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유럽연합은 축종과 품종은 물론 사양기술에 따라 가축분뇨 배설량을 산정하는 통계체계를 갖추고 있다. 네덜란드는 선진 축산기술을 활용해 가축 사육두수를 줄이지 않고서도 분뇨량을 줄였다. 대단한 성과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2008년 설정된 표준 가축분뇨 배설계수로 가축분뇨 발생 통계를 산정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신기술 보급에 따른 분뇨발생량 통계도 산정되지 않고 있다.

축산환경 분야 연구 인력과 과제의 강화도 필요하다. 필자가 근무했던 농촌진흥청의 축산환경 연구자와 과제의 수는 많지 않다. 소, 돼지, 닭 등의 가축 연구자들이 가축분뇨 배설량을 줄이는 품종과 사양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각 도 농업기술원에 축산환경 연구와 지도 인력의 보강도 시급하다.

위기의 핵심은 위기에 동의하지 않는 데 있다. 우리나라는 농경지 면적도 줄고 화학비료 사용량도 줄었지만, 가축분뇨 발생량은 계속 늘고 있다. 양분수지 개선은 각자의 영역에서 노력하면 된다. 남의 탓보다는 축산업계가 해야 할 일을 점검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민에게 사랑받는 축산업은 축산인이 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