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농산물꾸러미 지원사업 효과 입증

자체 생산 어려운 경우 타지역서 공급받는 방안 제도화 필요
비대면 트렌드 발맞춰 로컬푸드도 온라인 ·배송시스템 갖춰야

농업인들과 소비자의 호응에 힘입어 로컬푸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2년 전북 완주에서 처음 로컬푸드 직매장이 생긴 이후, 지난해까지 469개까지나 늘어날 정도다. 여기에 전국 58개 지자체가 로컬푸드와의 연계를 골자로 하는 공공급식 지원 조례 제정이 잇따르면서 더욱 탄력이 붙고 있다.

하지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전국의 로컬푸드 직매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매출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곳이 13곳, 지역농산물 취급비중이 50% 미만인 곳이 4곳이나 적발됐다. 이에 각 직매장에 맞는 운영지침 개선과 생산과 소비를 보다 잘 연결할 수 있는 방안 등이 요구된다. 이에 지난 25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경기 여주·양평) 주최로 ‘로컬푸드 활성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먼저 주제발표에 나선 전북연구원 황영모 산업경제연구부장은 로컬푸드가 민간의 자발적 활동과 사업을 통해 외연을 넓혀왔다고 주장했다. 황 부장은 “로컬푸드에 대한 관점은 다양한데 지역유통 효율성 등 경제적 관점, 지역경제 활성화의 지역연계 관점, 6차산업화와 마을만들기 연계의 농촌개발 관점, 식량안보와 환경적인 푸드시스템 관점 등”이라며 “대형전업농의 생산중심에서 벗어나 중소농의 실익을 창출하고, 누가 어떻게 생산했는지 알 수 없는 소비자의 불안을 해소하면서 지역순환경제로 지역공동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전략인데 사업조직을 직매장 일변도에서 탈피해 꾸러미, 이동장터, 직거래장터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는 게 황 부장의 주장이다.

이미 농식품부는 코로나19로 일선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됨에 따라 그 대안으로 531만 학생 가정에 7만2000톤 규모의 농산물꾸러미 지원사업을 추진하면서 효과를 톡톡히 봤다. 거기에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대상자도 기존 4만5000명에서 8만 명으로 늘어난 것도 농가입장에서 숨통이 트이는 조치였다.

한국여성소비자연합회 전북지회 김보금 소장은 “절대적 먹거리 빈곤은 대부분 해소됐지만 비만·성인병 등 사회적 질병 증가, 대량생산과 소비에 따른 환경 악화, 먹거리 관련 사회경제적 불평등 등의 새로운 형태의 먹거리문제가 생겼다”며 “쌀을 제외한 곡물의 90% 이상을 수입하는 식량 후진국인데다 먹방·쿡방이 넘쳐나지만 정작 농업은 외면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전북은 로컬푸드 민관행정협의회가 구축돼 일반농산물 판매 철수, 기획생산을 통한 다양한 품목 판매, 줄어든 유통단계만큼 가격 적정화 등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지역에서 과잉생산되거나 반대로 부족한 로컬푸드 상품을 공유해 기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안, 일반농산물 대신 친환경농산물로 전환하는 방안, 로컬푸드에 출하하는 여성농업인에게 농기계를 임대하는 것보다 필요한 농기계로 직접 작업해주는 게 효율적이란 방안 등이 농업인과 소비자가 한데 모인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이라고 김 소장은 설명했다.

상명대학교 양석준 교수는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해 개선할 4가지를 제안했다. 양 교수는 “품목이 부족해 원스톱 쇼핑을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자체 생산이 어려운 품목은 다른 곳에서 공곱받아 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이 제안한다”며 “농협 규정 중 ‘샵인샵 매장에선 중복진열 금지조항’이 지켜지지 않는 게 현실이기 때문에 이를 강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로컬푸드 가공식품의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 연구개발과 초중고교 학생에게 로컬푸드 학습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엘리트농부 최장수 대표는 “코로나19로 많은 생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로컬푸드도 배송온라인 시스템을 갖춰 지역에서 직배해야 한다”면서 “품목의 다양성을 위해 농업기술센터에서 거점 가공시설을 운영하고 농민들은 생산에만 주력하는 분업화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농식품부 김인중 농촌정책국장은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영안정을 위해 개설 이전부터 단계별로 컨설팅을 지원하고, 우수매장은 현장교육기관으로 지정해 기획생산과 가공 등을 지원할 것”이라면서 “소비자 구매편리성 제고를 위해 근거리 배송지원과 로컬푸드를 활용한 밀키트 개발 지원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레스토랑, 먹거리 교육과 문화시설 등이 추가된 로컬푸드복합센터를 내년부터 매년 5곳 이상 지원할 계획이라고 김 국장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