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기세가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일일 확진자가 400명을 넘어서면서 방역당국을 바짝 긴장케 하고 있고, 하루가 멀게 발생하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느라 의료진들도 지쳐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의료계의 집단파업이 국민들을 더욱 불안케 하고 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도입 등 정부의 4대 의료정책 추진에 반대한 대한의사협회가 파업에 돌입한 것이다. 코로나19 재유행의 위기상황에서 의료계의 파업은 진료공백을 불러와 국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리자, 의협은 업무개시명령이 악법이고 불이익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이 같은 정부와 의료계의 극한대립의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특히 도시지역에 비해 의료인프라가 턱없이 열악한 농촌지역의 주민들은 이번 의료계의 집단파업에 쉬 공감하지 못하며 불만을 보이고 있다. 실제 2017년 기준으로 농어촌의 의료기관 수는 도시의 12.6%에 불과하고, 농촌지역에서 활동하는 의사 수는 전체의 5.7%밖에 안 된다.

이에 농업인들은 도농 의료격차 해소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고, 이번 정부의 의료정책 추진에 거는 기대가 크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고 의료접근성이 취약한 농촌지역의 현실을 감안해 정부와 의료계가 대승적인 타협을 통해 보편적 의료복지가 실현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가중된 국민건강에 대한 우려를 볼모로 더 이상 소모적인 줄다리기를 해서는 안 된다. 국민에게 공감을 얻지 못하는 대립각을 풀고 실마리를 푸는 양측의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