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국가의 농업위험관리 위한
정책수단 마련은 필수적...
지금은 물가안정보다
소비활성화가 더 중요하다.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과
농업인들은 눈앞에 닥친
걱정꺼리에 주저앉지 말고
생산의욕을 불러일으켜야"

▲ 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이쯤 되면 사면초가(四面楚歌)다. 본격적인 영농철에 각종 재해와 질병이 잇따라 발생해 농가 피해가 어느 해보다 크다. 과수농가는 봄철에 갑작스런 영하 날씨로 피해가 왔다. 우박도 쏟아졌다. 과수의 구제역이라 불리는 과수화상병도 무섭게 번졌다. 그뿐만이 아니다. 양돈농가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발생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지난해 예방적으로 살처분했거나 수매·도태 후 1년 가까이 된 축산농가는 입식마저 막혀있다. 생계를 걱정하는 처지다.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살처분한 농가들도 완화된 기준으로 재입식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나마 다행이지만 경제적 부담이 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은 농촌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화훼농가에게 직격탄을 안겼다. 공판장에 낸 애써 키운 꽃이 유찰돼 농가로 되가져올 정도였다. 일본 수출길이 막혔다. 휴교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학교급식마저 중단됐다.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도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한해의 절반이 지났는데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
농산물 소비까지 눈에 띄게 줄었다. 많은 농가들이 큰 피해를 입고 생계마저 위협 당하고 있다. 고령화로 노동력도 부족하다.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들어오지 못해 농촌일손은 턱없이 딸린다. 농작물 수확과 이모작 농작물 파종시기가 겹치는 농가는 아우성이다.  

농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기후와 병해충 등 농업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다양한 위험 요인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뿐만이 아니다. 수급(需給) 특성상 생산과 가격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농업생산자가 소득과 경영위험을 관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어느 국가에서나 농업위험관리를 위한 정책수단을 마련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조속히 농업·농촌을 위한 지원방안이 나와야 한다.

품목과 특정분야를 가리지 않고 피해가 극심하다. 농정당국이 농가 피해를 남몰라 하고 있기엔 위험선을 넘어섰다. 우선 하루빨리 농가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물론 품목별로 수급 상황을 확인하고 농산물가격 안정장치도 내놓아야 한다. 농가 현실을 감안한 보상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과수화상병 피해 농가에도 경영회생자금이 지원돼야 마땅하다. 농촌이 어렵다. 농촌에 수익이 있어야 농업인이 견딘다. 종합적인 농가 재해지원 정책이 절실한 이유다. 정부가 농축산물 소비 진작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그런데 다른 한쪽에선 물가안정 차원에서 값을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상반된 태도를 보여 걱정이다. 지금은 물가안정보다 소비활성화가 더 중요하다.

농업인들도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젠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자연에만 의존하는 농업만으로는 힘들다. 힘든 농업보다는 즐거운 농업으로 바꿔가야 한다. 그 대안이 스마트팜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적인 농업기술이다. 정부는 젊은 층이 농촌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농업경쟁력을 키워줘야 한다. 귀농열기가 정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농촌의 앞날이 걱정이다. 정부가 연착륙을 위한 정책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젊은 층이 농사를 지으면서도 삶이 안정되고 삶의 가치를 갖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농업에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스마트팜은 전자장비나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젊은 층에 더 적합하고 유용하기에 그렇다. 이렇듯 스마트팜 기술을 축적하면 생산성을 충분히 올릴 수 있다. 코로나19로 저밀도 농촌생활에 관심이 높아졌다.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과 함께 농업인들은 눈앞에 닥친 걱정꺼리에 주저앉지 말고 생산의욕을 불러일으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