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외국인근로자가 없으면
농업 생산을 이어갈 수 없는
구조가 돼 버렸다.
코로나19로 외국인근로자 얻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힘들어졌다.

이제 농촌일손문제도 체계적이며
조직적으로 뜻이 있는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채널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 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은 농촌에는 일할 사람이 턱없이 부족하다. 농가 고령화가 심각해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국내 전체는 14.9%지만 농촌은 46.6%를 차지한다. 농림어업조사자료에 농가 경영주 평균연령이 무려 66.3세로 70세 이상이 39.4%, 60대 31.7%다. 농가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농촌인력이 부족한 것은 해마다 반복되는 일이다.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다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더 심각해졌다.

그간 농촌일손은 외국인근로자가 주요 일꾼이었다.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농촌인력 의존도가 생각보다 크다. 이들은 농촌 곳곳에서 농업인이 꺼리는 농작업도 대신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하늘길이 막혀 이들마저 입국하지 못해 농촌일손 부족문제는 마치 벼랑 끝에 내몰린 듯 암담하다. 작목별로 때를 놓쳐서는 안 되는 농업의 특성상 제때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하면 낭패다. 우리 농촌은 몇 년 전부터 외국인근로자가 없으면 농업 생산을 이어갈 수 없는 구조가 돼 버렸다. 그런데 지금은 코로나19로 외국인근로자 얻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힘들어졌다.

밭작물은 물론 과수농가, 축산농가 모두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예전 같으면 많은 기업체, 사회단체 임직원이나 공직자들이 대거 농촌을 찾아 일손 돕기에 나섰지만, 요즘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선뜻 나서지 못하는 듯해 농촌일손 부족 현상은 더 심각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인건비마저 폭등해 농업인을 더욱 힘들게 한다.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농사를 포기해야 할까 고민하는 농업인들도 있다.

하지만 언제까지 외국인근로자에 의해 농촌일손을 대체할 것인가. 이제 농촌일손문제도 체계적이며 조직적으로 뜻이 있는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채널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농정당국자도 이에 관심을 갖고 뿌리 내리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기 바란다.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등 사회공헌전문기관이나 네이버와 카카오 등 포털을 통해 농촌일손돕기에 참여하는 방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자원봉사조직인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가 운영하는 ‘1365 자원봉사 포털’ 게시판에 농촌일손돕기 수요를 등록한다. 그러면 일손돕기에 참여하고 싶은 직장인, 학생 등이 이 게시물을 보고 참여하는 방식이다.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가 잘 된 농협중앙회가 농촌일손돕기 수요등록을 맡으면 효율적이다.

이제껏 농촌일손돕기에 참여했던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는 ‘농업·농촌의 소중한 가치를 생각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향후 일손돕기 기회가 생기면 기꺼이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도시민들이 앞장서서 농촌일손돕기에 호응하는 것은 일손가뭄에 단비다. 농업·농촌은 날마다 국민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은 물론 생태계를 보전하고 도시민의 휴양 공간을 제공한다. 모두가 영농철에 농촌일손돕기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서야 하는 이유다. 농업기계화로 농촌인력난을 덜 수도 있다. 우리나라 농업기계화는 상당한 발전을 이뤘다. 벼농사 기계화율은 97.9%다. 밭작물 기계화율은 58.3%다. 이 중 손이 많이 가는 파종·정식·수확작업은 고작 10% 안팎이다.

최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로봇을 통한 기계화가 만성적인 농촌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농가들은 일손부족과 생산량 증가 등을 위해 농작업에 기계화를 추구하지만 기계화율은 좀처럼 높아지지 않고 있다.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국가기간산업인 농업이 흔들리면 안 된다는 인식아래 농촌일손부족에 범국민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