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산업 붕괴 위기 ...과수화상병 조속한 확산 방지책 세워야

한국사과연합회(회장 박철선 이하 연합회)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과수화상병에 대한 농촌진흥청의 신속한 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지난 3일 발표했다.

과수화상병은 2015년에 안성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충남 충북을 거쳐 강원도까지 확산되고 있어 파급력이 가늠하기 어렵고 미발생 인접지역으로 추가 확산이 예상돼 신속하고 확실한 대책 시급이 필요하다.

과수화상병균은 배나무보다 사과나무에서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로 줄기나 굵은 가지의 병환부에서 월동하고 월동 병원균은 가까운 곳은 비·바람, 곤충과 전정가위 등 작업도구를 통해 전파되고 먼 거리는 감염된 묘목이나 사람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합회는 “농촌진흥청은 신속한 화상병 예찰과 판정을 통해 발생지역 격리 혹은 비발생지의 확산방지를 위한 대책을 조속히 수립해야 할 것”을 촉구했다. 또 과수화상병 방지 대책을 소홀히 할 경우 국내 과수산업이 붕괴되고 과수농업인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현재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여 책임감을 갖고 신속한 보상책을 강구해야 할 것도 요구했다.

과수화상병의 우리나라 유입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고 외국에서 유입된 병해이기에 연구가 부족하고 치료제 또한 준비되지 않고 있다.

연합회는 “200년 전 1780년 미국에서 발견된 화상병에 대한 치료제가 지금껏 개발되지 못한 걸로 보았을 때 단기간에 국내에서 치료제가 개발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여 농촌진흥청의 빠른 대처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과수화상병이 발병될 경우 화상병에 걸린 나무는 모두 매몰처리 해야 하기에 매몰처리 등 많은 비용과 수년간 과수 농사를 지을 수 없기에 농가의 피해 또한 엄청나다. 평생 과수 농사에 전념한 전문화된 농가를 잃는 것도 국가 차원의 손실이라고 연합회는 주장했다.

연합회는 농촌진흥청에서는 초기 감염을 제대로 방제하지 못해 해당 과수원은 물론 지역 과수원 전체를 감염시켜 폐원해야 하는 우를 범하여서는 안 될 것이라 덧붙였다.

한편, 박철선 한국사과연합회장(사과의무자조금대의원회 의장)은 지난 1일에는 농림축산식품부를, 또 2일에는 농촌진흥청을 잇달아 방문해 과수화상병 발생현황과 과수농가의 애로사항을 직접 전달하고 우리나라 과수산업발전을 위해 현실적이고 충분한 지원책을 수립해 피해농가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피해보상과 피해복구비, 작목전환비 등을 신속히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