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경제조사, 농업외소득이 소득안전망 역할 톡톡히

2019년 농가평균소득 4118만 원

2019년 농가소득은 평균 4118만 원으로 전년보다 2.1% 감소한 것으로 통계청의 농가경제조사 결과 나타났다.

이는 주요 과실 채소류 등의 수급 불안과 태풍에 따른 품위 저하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 쌀 변동직불금 지급 지연에 따른 농업수입 감소 영향으로 농업소득이 전년보다 20.6% 감소한 영향도 있다. 한 예로 쌀은 수확기에 2018년 80kg에 19만3568원에서 2019년 수확기엔 18만9964원으로 1.9% 하락했다. 더구나 2018년산 쌀 변동직불금(2544원/80kg, 농가당 17만원 수준)은 공익형직불제 도입 관련 국회 논의 등으로 올해 1월에나 지급됐다. 양파의 경우는 하락 폭이 커서 2018년 평균 kg당 785원에서 2019년에는 594원으로 24.3%나 하락했다. 더구나 농업경영비는 평균 2283만7000원으로 전년 2417만5000원보다 5.9% 증가해 농업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배합사료 가격 인상 등으로 사료비가 전년보다 8.4% 증가했고, 지난해 1월부터 PLS가 시행됨에 따라 안전관리 강화에 대응한 고가·고활성 농약 판매 증가로 농약비가 7.5% 증가했다.

경영주 연령별로는 40대 이하에서는 농가소득이 7.1% 늘었고, 50대는 0.2% 증가, 60대는 2.2%가 증가했다. 40~60대의 주력농가 그룹의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70대 이상 농가 소득이 3.3% 감소해 평균 농가소득이 감소했다.

반면에 농업외소득은 농촌융복합산업과 농촌관광 활성화 등 지속적인 농가소득 다각화 추진으로 겸업소득 증가로 전년보다 2.2%가 증가했다. 농촌관광객 수는 2018년 1237만 명에서 2019년엔 1307만 명으로 늘었다.

농가 평균 부채는 245만 원 증가했으나 자산도 3377만 원 증가해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6.7%로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직불금의 단가 인상과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확대 등 공적 보조지원 강화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3.5% 증가해 농업인 소득안전망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국민연금의 지난해 월평균 급여액은 월28만9000원이었다.

정부는 농가소득 제고를 위해 채소가격안정제 확대와 주요 품목 의무자조금을 도입해 농산물의 수급 안정을 추진하고, 5월1일부터 공익형 직불제 본격 시행하고 재해보험을 2018년 73개에서 2019년 78개 올해 83개로 점진적으로 늘려나가 소득안전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