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최신 귀농‧귀촌 경향은?

농식품부,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발표

귀농 이유···자연환경,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 가족생활 순
귀촌 이유···정서적 여유, 자연환경, 저렴한 집값 순

귀농·귀촌인 10명 중 8명은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 생활을 경험한 사람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농촌 생활에 만족하고 있지만 다양한 정보와 문화 서비스 접근성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귀농 5년차 평균 가구소득은 3895만원, 귀촌 5년차 평균 가구소득은 4200만원으로 집계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지난달 26일 발표했다.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귀농·귀촌 4167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에 대한 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귀농·귀촌 이유, 세대별로 차이

귀농귀촌 유형을 보면 귀농 54.4%, 귀촌 29.5%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을 한 이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21.5%, 귀촌 27.7%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을 한 이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했고 귀농 7.4%, 귀촌 10.8%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집계돼 연고가 있는 곳으로의 귀농‧귀촌이 두드러졌다.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 가족생활 순이며, 귀촌 이유는 정서적 여유, 자연환경, 저렴한 집값 순으로 조사됐지만 세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조사 결과 2040세대는 5060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업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컸다. 질문에 답한 20~30대의 46.3%와 40대의 39.0%는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 때문에 귀농을 결정했다고 답했다.

반면 50~70대는 귀농 이유로 ‘자연 환경이 좋아서’를 꼽았다. 50~60대와 70대 중 ‘자연 환경이 좋아서’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34.3%와 37.5%로,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 때문이라고 답한 평균 20%보다 훨씬 높았다.

귀농준비 기간은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다. 귀농가구의 59.9%, 귀촌가구의 21.1%가 귀농귀촌 교육 이수했고,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0.7%), 주거·농지 탐색(32.5%), 귀농 교육(12.8%) 등을 수행했다.

귀농가구 절반이 농외소득 활동

귀농 5년차 평균 가구소득은 3895만원, 귀촌 5년차 평균 가구소득은 4200만원으로 집계됐다.귀농 전 평균 가구 소득은 4400만원이었지만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828만원에 불과했고 점차 소득이 증가해 5년 차에야 귀농 전 소득의 88.5%인 3895만원에 도달했다.

이 때문에 귀농 가구의 48.6%는 소득 부족 등을 이유로 직장취업(24.6%),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23.8%), 임시직(21.9%), 자영업(17.9%), 비농업부문 일용직(12.7%), 농업 임금노동(10.0%) 등의 경제 활동을 벌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촌 가구는 귀농가구보다 사정이 나아서 귀촌 전 평균 가구소득은 4038만원이며 4년차에 귀촌 이전의 소득 수준에 올라섰다. 연차별로 따져보면 1년차 3279만원, 2년차 3606만원, 3년차 3635만원, 4년차 4058만원, 5년차 4200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귀농·귀촌 가구의 월 평균 생활비는 이전보다 크게 줄었다. 귀농가구의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 전 282만원이었지만 귀농 이후 201만원으로 80만원 가량 줄었다. 귀촌가구의 생활비도 259만원에서 213만원으로 46만원 감소했다.

10가구 중 6가구, 귀농‧귀촌생활에 만족
영농기술‧ 경험부족과 자금부족이 불만족 이유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는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3가구는 보통, 1가구는 불만족이라고 응답했다.

귀농·귀촌 생활의 만족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귀농 가구의 57.8%가 만족(매우만족·만족)한다고 답했고, 귀촌 가구는 이보다 높은 67.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은 귀농 34.9%, 귀촌 30.5%다. 불만족은 귀농 7.3%, 귀촌 2.6%다. 주요 불만족 이유로 귀농은 영농기술․경험부족(28.5%), 자금부족(27.8%), 귀촌은 자금부족(43.3%), 영농기술․경험부족(30.0%)을 등을 꼽았다.

귀농 74.7%, 귀촌 56.1%는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고 응답한 반면 귀농 1.4%, 귀촌 1.5%만이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했다.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마을공동시설 이용문제 순이었다.

정보획득 어려움 호소

귀농·귀촌 가구의 27.3%와 41.7%는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이들은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 귀농·귀촌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는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30대 이하는 임신‧출산‧양육, 40대 이하는 교육, 5060대는 일자리 지원 서비스 확충을 희망했다.

연령대별 특성 반영 강화한 정책 추진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직업으로서의 귀농을 바라는 청년층을 위해 농업창업 교육지원과 귀농귀촌인의 농외 소득활동 지원과 맞춤형 정보제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초 품목‧기술교육 중심으로 지역융화‧귀농설계 교육이 부족했던 부분의 해소를 위해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주민갈등, 정착실패 사례 등 농촌공동체 이해와 귀농설계 교육을 보강할 계획이다. 또 특‧광역시와 기술센터가 없는 지역은 도시농협을 교육‧상담 지원 창구로 활용해, 자산관리‧세제‧금융 등 도시농협의 전문성을 살린 특화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귀농귀촌인의 농외 소득기반 강화를 위해 귀농 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에도 단기 취업과 타산업분야 사업자 등록을 일부 허용하는 등 지원요건을 완화해, 시‧군의 귀농귀촌 지원센터(71개소)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고용센터, 새일센터 등과 연계해 귀농귀촌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병원 시설‧장비 현대화,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의료‧보육 지원을 강화하고, 농어촌 학생 통학버스 지원, 공공‧작은 도서관 확충 등 교육‧문화 서비스 접근성을 보완하는 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생활기반 조성 등을 위해 앞으로 5년간 약 51조원을 투융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