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덕 경영지도사

"치유농업으로 수조 원의
사회경제적 유발 효과가
있다고 분석된다.
관련 후방산업까지 감안하면
그 경제적 효과는 더욱 커지며
농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까지 기대된다."

▲ 임창덕 경영지도사

최근 치유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치유농업의 효과는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 공격성의 완화, 정서 안정 증가, 언어폭력 감소, 자존감 증가, 우울과 스트레스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 등이 보고됐으며, 노인의 경우 텃밭활동 후에는 콜레스테롤이나 체내 지질함량이 감소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정부는 치유농장이란 명칭보다 돌봄, 교육, 고용 등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면서 사회적 농업이라 하고,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장을 사회적 농장이라 칭하고 있다. 이탈리아 피사 대학의 이아코보(Francesco Di Iacovo) 교수는 사회적 농업이란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람들의 재활, 교육, 돌봄을 촉진하거나, 아동이나 노인 등 특정 집단에게 농촌지역에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지닌 농업 실천’이라 정의한 바 있다.

국내에는 30여 개의 사회적 농장이 지정돼 운영 중이다. 해당 농장에는 운영비, 네트워크 구축비, 시설 개선비를 연간 6000만 원씩 최대 5년간 지원하며, 이중 거점 농장으로 지정되면 사회적 농업 교육자료 제작, 권역 사회적 농장 관리 등을 위해 연간 2억 원씩 3년간 지원받는다. 이들 농장은 발달장애인과 함께 활동하는 곳이 가장 많고, 고령자, 학교 밖 청소년, 다문화 가정, 귀농 희망자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농업의 융복합산업화 추진에 따라 농업의 생산 기능 이외에 농업·농촌 다기능적 요소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농협중앙회 신임 회장은 치유 농장 도입과 육성을 공약했다. 농가 입장에서는 농촌 경제의 소득 다각화 등의 경제적 편익을 얻는다. 지역사회 측면에서는 사회적 통합,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의 편익을 얻는다. 결국 다각화된 농업 소득, 새로운 고용기회 제공 등 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치유농장 도입과 육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싶다. 첫째, 치유농업 인력양성과 네트워크 구축이다. 전문 자격증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 의료 분야 등 전문가와의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전문성의 확보도 중요하다. 네덜란드와 핀란드에서는 국가적 수준의 치유농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둘째, 치유농업 중간 지원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교육과 경영 컨설팅 등을 제공해 자립이 가능토록 다각도의 지원이 필요하다. 홍보와 마케팅 지원도 필요하다. 네덜란드나 벨기에의 치유농업지원센터, 영국은 Care Farming UK라는 지원 조직을 운영 중이다.
셋째, 치유농업 육성과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별도 건강보험의 도입, 국가 차원의 지원센터 설립 등 대정부 노력이 필요하다. 네덜란드는 예외적 의료비법, 개인보호예산제도, 벨기에는 치유농장 보조금 제도 등으로 치유 농장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기존 체험마을 등을 활용해 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현재도 사회적 농장으로 경쟁력을 갖춘 곳이 많다. 치유농장 활성화를 위해 행정안전부의 마을기업 제도, 고용노동부의 사회적 기업 제도를 활용하면 정부 지원도 가능하다. 

다섯째, 치유농장은 정부지원금, 보험료, 자부담 또는 농축산물 판매 수익금에 의존해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족한 자금에 대한 대출 지원 방안, 다양한 보험상품 개발, 운영 프로그램 개발과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 농산물에 대해서는 판로지원이 필요하다.
치유농업을 통해 수조 원의 사회경제적 유발 효과가 있다고 분석된다. 관련 후방 산업까지 감안하면 그 경제적 효과는 더욱 커지며 농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까지 기대된다. 치유농업 활성화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동시에 농업·농촌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하고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