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의 아파트 30~40평형대가 30억 원대로 거래되는 고가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부동산 고가행진을 차단하고자 보유세 인상과 대출규제 등의 가격 억제 대책을 내놓았다. 이것마저 제대로 먹히질 않자 매매허가제를 하겠다는 얘기까지 하다가 여론의 비판에 없는 것으로 거둬들이는 소동까지 일었었다.

이처럼 강남의 아파트는 국민의 자산증식의 도구가 된지 오래다. 역대  정부가 강남의 아파트가격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 고역을 겪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지방 거주 외지인들이 사들인 서울 아파트가 2006년 통계 이후 가장 많았다는 기사가 보도됐다. 1월28일 한국감정원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매매된 서울 아파트 1만4117건 가운데 3687가구(26.1%)가 서울 이외 지역인이 매입했다고 한다.

지방민들의 상경투자는 그동안은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통칭 강남아파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난달에는 집값이 저렴한 지역으로 옮겨갔다. 외지인이 가장 많은 아파트를 사들인 지역은 노원구에 이어 중랑구다. 중랑구에서는 전체 거래량 544가구 중 269가구를 외지인이 사들였다. 이 밖에도 관악 29.4%, 영등포 29.3%, 노원 29%, 도봉 18.2%가 지방인의 소유가 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통계를 보면서 국토개발계획으로 토지보상금을 받게 되는 농민들은 자산증식이 기대되는 상경투자를 깊게 고려해 봐야 한다. 토지보상금 수령이 알려지면 자녀간 자산분배 격론에다가 주변인의 헛된 투자 유혹으로 모처럼 거머쥔 큰 자산을 잃을 수가 있다. 미래보장이 되는 상경투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