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담수호의 심각한 수질이 도마에 올랐다. 유역과 오염원이 넓게 분포한 담수호 22곳 중 수질기준 4등급을 초과한 경우가 정확히 절반인 11곳에 달했다. 오죽하면 똥물로 농사를 짓는다는 표현까지 나왔을 정도다. 그나마 농업용 저수지는 수질개선 중장기대책을 시행 중이고, 2018년까지 1283억 원을 투입했다. 하지만 담수호는 어쩐 이유에서인지 사각지대에 놓여 충남 홍성의 간월호만 대책이 수립됐고, 나머지 10곳은 대책이 전무하다.

지난해 12월10일 확정된 2020년도 농업용수의 수질개선 예산은 정부안 299억3500만 원의 1/10에도 못 미치는 28억 원만 배정됐다. 올해도 담수호 수질을 개선하는 일은 사실상 힘들어 보인다. 국감 때 담수호 수질 개선 대책을 내놓으라고 으름장을 놓던 국회가 되레 예산을 왕창 깎은 건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 처사다.

담수호는 유역이 넓어 상류 오염원 차단이 우선돼야 한다. 수질오염을 예방하거나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기술발전 속도는 빠르게 진행돼 조금만 관심을 가진다면 확연한 수질개선이 예전보다 적은 예산으로 가능하다. 담수호 역시 마찬가지다. 가뜩이나 물관리기본법이 시행돼 환경부가 통합 물관리를 맡으면서 농업용수 확보를 걱정하는 농업인들이 많다.

공업용수에나 적합한 수질로 농사지으란 건 어불성설이다. 깨끗하고 안전한 농업용수 공급은 농업인들이 물 걱정 없이 농사지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자 국민 먹거리 안전과도 직결된다. 정부와 국회가 절대 외면해선 안 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