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6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 발생한 이후 10월17일 현재 경기 북부지역과 인천 강화군의 돼지농장 14곳에서 ASF가 발생했고, 의심신고도 지속되고 있다.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도 ASF 바이러스가 검출돼 방역당국과 농가들이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자 급기야 정부가 ASF가 발생한 지역의 돼지들을 수매·살처분 하는 한편, 멧돼지 포획·사살 조치를 취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ASF가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자 양돈농가들의 정부의 일방적인 돼지 살처분 정책에 반발하며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한돈협회는 최근 청와대에서 무분별한 수매·살처분 정책 중단, 살처분 농가 생존권 보장, 야생멧돼지 사살 등을 촉구하는 1인시위에 들어갔다. 협회는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된 만큼 집돼지 몰살정책으로는 ASF를 막을 수 없다며 일괄 살처분 정책의 즉각 중단을 요구하는 한편, 현실적인 농가피해 보상책을 촉구했다. 이에 정부는 적극적인 야생멧돼지 포획과 살처분 보상금 100% 시가 지급, 생계안정자금 지원 등 성난 농심 달래기에 나섰다.

우리보다 먼저 ASF가 발생해 큰 피해를 입은 중국은 ASF 발생농장의 감염돼지를 신속히 격리해 살처분 하고, 미감염 돼지를 철저히 관리해 청정화에 성공한 사례가 있고, 체코는 야생멧돼지 포획·사살정책으로 단기간에 ASF를 물리친 경험도 있다고 한다. 우리도 ASF가 더 확산될 것을 대비해 다양한 시도를 통해 양돈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치료약이 없는 치명적인 ASF 퇴치를 위해 백약을 동원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