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충에만 몰두해 정작 도서관 운영·관리 소홀

▲ 작은도서관 휴․폐관 현황(단위:년, 개관, %)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밀착형 생활SOC 확충방안의 일환으로 올해 300개관이 넘는 작은도서관을 신규로 조성했지만, 정작 운영에 대한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대안정치연대 최경환 의원(광주 북구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작은도서관은 6786개로 올해 413개관이 신규로 조성됐다. 그러나 도서관 확충에만 몰두해 정작 도서관 운영·관리에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도서관의 휴·폐관이 많은 이유는 매년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다. 실제 작은도서관에 근무하는 직원 수는 지난해 6343명에서 5505명으로 800여 명이 감소했다. 직원이 없는 작은도서관도 38.5%로 2614개관에 달한다.

상당수의 작은도서관이 자원봉사자들에게 의존하고 있지만, 2017년 3만512명이었던 자원봉사자 수가 올해 3만280명으로 230여 명이 감소했다. 도서관의 필수 인력인 사서자격증 소지 인력을 보유한 작은도서관은 10.7%로 729개관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18년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운영평가에서 부정적인 평가인 ‘D’, ‘F’를 받은 비율이 2016년 40.7%, 2017년 41.2%, 2018년 42.6%로 갈수록 증가 추세에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대책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작은도서관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 중인 ‘순회사서 사업’의 지원을 받은 작은도서관은 2018년 14.0%(886개관)에서 올해 9.4%(641개관)로 오히려 감소했다.

더욱이 공립 작은도서관과는 달리 전체 작은도서관의 80%에 가까운 사립 작은도서관에 인건비, 관리비 등의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고 있어 이 상태가 지속되면 전국의 작은도서관은 고사 위기에 처하게 된다.

최경환 의원은 “정부는 지역밀착형 생활SOC 사업을 추진하면서 외연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기존 작은도서관의 체계적인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 국비, 지방비 매칭을 통해 최소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정부 차원의 ‘작은도서관 지원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