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후 성과 대상, 농식품부 전문지 기자단의 심사로 공개 검증

▲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이 농업의 미래지향적 발전과 현장 적용을 위한 현장 중심의 우수 R&D 확산 계획을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 현장 연계성이 높은 우수 R&D 성과를 발굴하고, 공유 확산을 위해 현장 체감형 우수 R&D를 선정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지난 20일 농식품부 출입 농업전문지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농식품부는 과학기술부서로 그간 농업 분야 R&D가 국가적 성과는 컸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 성과가 적었다”고 반성하며 현장 체감형 우수 R&D 성과 선정계획의 배경을 직접 설명했다.

올해 농림식품 분야 R&D예산은 정부 전체 R&D 20조5천억 원의 4.8%인 9930억 원 규모다. 이중 농식품부가 2239억 원, 농진청이 6504억 원(연구인력비 포함) 산림청이 1187억 원이다.

그간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기능성 식품, 종자개발 등 신성장 동력 창출과 가축질병과 농기계화 촉진 등 현장문제 해결에 R&D 예산의 투자를 집중했다.

주요성과로 첨단기술의 개발 보급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수출확대, 가축질병 대응 등에 기여했고, 과기부 주관의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지난해 15건이 선정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또 스마트 팜 보급의 확대로 2018년 기준 스마트 축사가 1425개소, 스마트 온실은 4900개로 늘어나 생산량 증가와 노동력 절감의 효과를 거뒀다.

윤동진 농업생명정책관은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녹색혁명 시대의 종자개발처럼 굵직한 성과가 부족했고 사업화 확산은 미흡했다”고 아쉬운 점을 토로했다.

현장 우수 R&D 선정은 그간의 성과 기준인 학술적‧ 기술적 우수성에서 탈피해 현장에서 체감하는 연구개발 성과를 선정한다.  농식품부는 오는 9월27일까지 현장 우수 R&D 성과에 대한 접수를 통해 10월까지 심사와 선정을 거쳐 오는 11월8일부터 열리는 농업박람회에 선정된 우수성과 10선을 전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현장체감 연계성 강화를 위해 접수는 개인별 접수와 단체 등의 추천을 통한 접수 지자체를 통한 우수성과 접수를 병행한다. 특히 한국농축산연합회 소속 단체와 품목별 단체 등 농업분야 단체를 통한 우수 연구개발 성과의 접수와  각 도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농업분야 현장 밀착형 행정기관을 통해서도 우수 성과를 발굴 접수한다.

우수성과의 기간 범위는 선정 연도부터 2년 이내까지 포함한다. 올해 선정의 경우 2017년 이후에 창출된 연구개발 성과까지 접수 가능하다. 또 농업현장의 어려움 극복과 농산업 발전 등에 기여한 연구개발 성과로서 국가연구개발 외에도 민간차원의 자체 연구개발 성과도 접수 가능하다. 특히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며 취재해온 농업전문지 기자단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할 계획이다.

윤동진 농업생명정책관은 “심사 평가항목은 연구개발 기술의 현장 효과성 위주로 구성하며 영농과 농산업 현장문제 해소와 농업인 생산성과 소득 향상 기여, 농산업 현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항목으로 구성하는데 농식품부 출입 기자단의 전문성을 활용하겠다”며 농업전문지 기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덧붙어 농식품부는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 주도 역매칭 R&D 활성화 추진 계획도 밝혔다. 이는 기존 정부 주도의 R&D 과제 선정으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확보가 어려웠고, 연구와 현장간의 괴리가 발생했던 점에서 벗어나. 민간 연구주체가 먼저 현장에 필요한 R&D를 제시하고 선 투자하는 방식이다.

농식품부는 민간이 필요로 하는 R&D 제안에 공동으로 매칭 투자해 농업농촌 현장에서 필요한 애로를 해결에 나선다. 이런 역매칭 R&D를 통해 얻어진 특허, 실용신안. 제품 등 모든 성과물은 민간 연구주체인 생산자단체로의 귀속이 원칙이다.

윤동진 농업생명정책관은 “농업의 미래지향을 위해선 현장 애로를 스스로 먼저 해결하려는 농업인의 오너쉽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런 역매칭 R&D 사업의 적극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