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채소산업발전기획단’ 통해 대책 마련

관행재배에 따른 과잉생산-산지격리 연례화 문제

▲ 채소산업발전기획단(T/F) 1차 회의가 지난 10일 업무담당자·학계·업계·생산자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재욱 차관 주재로 열렸다.

국내 1인 가구는 562만 가구로 전체가구의 28.6%를 차지하고, 맞벌이가구도 533만 가구로 45%에 달하는 등 최근 편의를 중요시하는 소비경향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소비변화에 대응 없이 관행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다보니 과잉생산으로 인한 산지격리가 연례적으로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각계 전문가와 함께 채소산업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채소산업발전기획단(T/F)’을 8월까지 한시적으로 구성·운영한다. 채소의 만성적 공급과잉이 구조화되지 않도록 기획단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기획단은 농식품부 이재욱 차관이 단장을 맡고, 생산·소비경향 분석, 수급안정, 유통구조개선의 3개 팀과 자문단으로 구성됐는데, 지난 10일에는 업무담당자·학계·업계·생산자단체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차(Kick-off) 회의를 가졌다.

기획단은 우선, 생산·소비경향 변화에 따른 신선채소 품목별 소비실태를 분석하고, 기존 수급안정정책의 한계를 분석하는 한편, 지자체와 농업인의 자율적 수급조절을 제도화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그동안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한 재정투입에도 불구하고 정부 정책의 성과가 제한적인 것에 대해 이날 회의에 참석한 충남대 김성훈 교수는 “정부·지자체·생산자 등 시장주체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시장참여자의 책임성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의에서는 채소류 가격안정을 위해 생산자가 가격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로컬푸드·공공급식을 확대하고, 수요자와 공급자가 고정가격으로 거래하는 유통경로 확대 방안도 모색됐다.

신유통연구원 송정환 부원장은 “식품기업의 수입농산물 사용비중이 높은 상황을 감안할 때, 생산자와 식품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국산농산물의 장기 고정가격 계약 체결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채소 수출이 국내 과잉 물량을 밀어내기 형태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수출국의 수급상황 분석을 거쳐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농산물을 수출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은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모두 테이블에 올려놓고 원점에서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