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7만명 산촌 유입…청년층 상대적으로 낮아

▲ 산촌의 소멸을 막고 산촌의 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청년 인구의 적극적인 유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매력적 일자리 필요하지만 산림산업 여전히 영세
1차 산업 아닌 미래산업으로서 이미지 부각돼야

인구 143만 명. 2017년 기준의 산촌 인구로 전체 인구의 2.8%에 불과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31.4%로 도시 12.3%는 물론이고 심지어 농촌의 21.1%보다 훨씬 높았다. 소멸위험지수로 봤을 때도 산촌 읍면은 73%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농촌의 50%보다 높아 산촌의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

산촌의 20대와 30대 청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2000년 27.5%에서 2017년 기준 16.6%(약 24만 명)로 나타났다. 작금의 상황이 지속되면 산촌이 넓게 분포된 지자체는 파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산림자원의 생산 저하, 재난·재해 위험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무엇인가? 바로 산촌으로의 청년 유입이다. 은퇴한 베이비부머와 친환경적인 산촌의 삶을 살고자 하는 도시민들의 증가로 매년 6만~7만 명의 인구가 유입돼 2014년부터 감소세의 산촌 인구가 반등하고 있다. 긍정적인 신호다. 하지만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16.6%, 20대가 15.4%로 상대적으로 낮아 이들을 유인할 정책이 시급하다.

지난 1월31일 열린 ‘2019 산림·임업 전망’에서도 청년들의 산촌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제언이 이어졌다.

연고·기반 없는 청년 위한 정책은?
국립산림과학원 장주연 연구사는 “그동안 산촌활성화는 고령의 산촌주민, 중·장년층, 은퇴자 중심에서 지난해 청년들의 산촌 정착을 위해 교육 제공, 주택, 임야, 시설 등의 지원을 신설했으며, 올해는 지자체 유휴시설을 리모델링해 청년들에게 주거를 제공하고, 산림비즈니스를 위한 임야, 시설, 공간을 임대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장 연구사는 “청년 농업인 육성을 목표로 하는 농업농촌과 달리 임업산촌은 청년을 왜 지원해야 하고, 어떤 청년을 지원해야 하는지 구체적 목표가 없고, 지원들이 산발적으로 진행돼 통합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 연구사는 “일반 청년과 산림·임업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청년들 대다수는 산촌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살기보다는 도시를 떠나 잠시 머물거나 경제활동과는 별개로 산촌에 거주만 하는 삶을 원하고, 1억6000만 원 자가소유, 상용직 일자리, 전일제 근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청년들은 주택지원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꼽았고, 생활자금지원과 산림분야 취업지원 순이었다”고 소개했다.

산촌에 연고나 자금 등 기반을 갖춘 중장년층과 달리 청년층은 기반이 부족하므로 주택지원과 자금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산림청이 지난해부터 창업을 희망하는 39세 이하 청년팀을 대상으로 멘토링하는 사업도 실제 사업 실행 시 필요한 자원과 기술지원이 보완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산촌의 일자리와 연계될 수 있는 임업교육이 선행돼야 산촌에서의 경제활동이나 일자리를 알지 못해 발생하는 청년들의 인식을 바꿀 단초가 될 수 있다.

산림산업 약점 보완 필요
이어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전승훈 교수는 고용보험 빅데이터와 산림산업업체 1만277개를 활용한 산림분야 일자리를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전 교수는 “조사에 응한 산림산업 업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목재·펄프·종이제조업으로 전체의 53.7%에 해당했고, 평균 근로자는 16.3명, 생산직 비중은 70%, 근속년수는 1년 미만 비중이 25.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SWOT 분석을 해보면 산림산업의 강점은 목재생산, 임산물 채취가공부터 휴양, 교육, 레포츠로 확대됨에 따라 영역과 고용잠재력이 확대된다는 점이고, 약점은 사업체의 규모는 작고, 임금은 낮아 청년들에게 매력적인 일자리로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기회요인은 소득수준이 높아져 유무형 서비스에 대한 국민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된다는 점이고, 반면 위협요인은 경기전망이 부정적이라 기업들의 인력채용에 소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의 정책은 산림산업의 일자리 전반에 관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산림일자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드론을 활용한 산림환경감시전문, 도시임업 전문가처럼 1차 산업의 이미지에 머물러 있는 산림산업 일자리를 미래산업으로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탈바꿈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