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의 위험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6월 기준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40% 정도인 89곳이 소멸위험지역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의성, 전남 고흥, 경북 군위, 경남 합천, 경남 남해 등이 그 후보지인데, 이 지역의 노인은 20~30대 가임여성보다 최소 6배 이상이다.

지방소멸의 가장 큰 원인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인데, 특히 소멸위험지역 후보지들에서 보듯이 전형적인 농어촌지역의 소멸위험이 두드러진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최근 지자체를 대상으로 저출산 극복 우수시책 경진대회를 개최해 눈길을 끌었다. 접수된 사례를 보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시철도 임산부 자리양보 안내 시스템, 직장맘 지원센터 운영, 행복결혼공제사업, 임산부·태아 건강증진사업, 아빠의 육아참여문화 확산, 병원아동돌봄서비스 등 지자체의 다양한 저출산 극복 사업이 경진에 참여했다. 안타까운 것은 이들 우수시책을 내놓은 지자체 중 소멸위험 상위권에 있는 농촌지역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이다.

출산장려금 등 금전적 ‘당근’으로는 농촌지역으로의 젊은 층 유입과 출산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젊은이들이 불편함 없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정주여건이 마련돼야 하고, 이와 함께 안정적인 소득활동도 할 수 있는 인프라도 갖춰져야 한다. 청년농 육성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뤄져야 한다. 지방소멸의 위험이 그리 먼 곳에 있지 않음을 정부와 지자체 모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