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힐링의 산업적 전망과 과제 정책세미나’ 개최

▲ 힐링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 7일 국회에서 ‘2018 힐링의 산업적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세미나가 개최됐다.

치유프로그램서 직거래 연계해 소득 높여야

장애인고용으로 수익성 높이는 방안 제시

지친 현대인들을 어루만져 주는 힐링활동을 체계화하고 본격적인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정책세미니가 지난 7일 국회에서 ‘2018 힐링의 산업적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 첫 회에 이어 황주홍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의 주최로 열렸으며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해양수산부, 산림청 등 중앙부처 관계자가 참여해 농업을 통한 힐링산업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시선이 집중됐다.

개회사에서 황주홍 의원은 “우리나라의 OECD 경제 규모는 10위권이지만 행복지수는 50위권으로 경제규모에 비해 국민이 심리적으로 느끼는 행복감은 하위다”며 “현저한 격차를 극복해가기 위해 ‘힐링’이 명실상부한 10위권의 행복한 나라로 만드는 데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개호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이개호 장관은 “우리나라의 나아갈 길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방향 중에 중요한 것 한 가지가 힐링이다”며 “농촌도 마찬가지며 농촌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갈 것인지 고민스러운 지점에 반짝이는 등댓불처럼 방향타가 돼주고 있는 일이 힐링산업”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힐링산업은 무궁무진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새로운 산업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의약품과 식품, 문화 전반에 있어서 힐링이 다양한 영역을 확대해가고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는 힐링산업이 되길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경미 농업연구관은 ‘농업의 힐링산업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김 연구관은 “농촌의 힐링산업인 치유농업은 농업농촌사회에 새로운 소비자그룹이 유입돼 들어오는 것”이라며 "비농업 분야인 복지기관, 학교 등 다양한 그룹이 농장과 결합돼 지역사회에서 하나의 목적과 가치로 새롭게 설계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업의 1차산업은 가장 튼튼한 자원을 가져 출발점이 될 수 있고, 2차산업은 치유농업에 필요한 도구를 생산하며, 3차산업의 서비스마인드는 치유농업의 가장 중요한 성격이 된다”고 말하며 힐링산업이 농업농촌에 활용도가 높다고 소개했다.

또한 김 연구관은 치유농업이 발달한 국내외 사례도 발표했다.

그는 “일본 농가에서는 장애인을 고용해 인건비를 절약하고, 장애인 작업환경을 개선하면서 생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여건을 지원 받아 농업의 수익성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며 “일본 사례를 통해 농지보전과 장애인 직업재활을 할 수 있는 농업의 순기능이 전략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농가는 장애인을 고용해 부족한 일손을 보충할 뿐 아니라 장애인 가족과 관련 고객들이 농장으로 방문을 유도해 신규고객이 되면서 농산물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고 김 연구관은 설명했다.

아울러 김 연구관은 “신의학소재와 바이오소재 등을 치유농업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란 물음에 치유농업을 넘어 힐링산업의 큰 범위에 두고 얘기한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힐링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용인대 오순환 교수는 “해외경험이 많은 고객도 농촌관광을 왔을 때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힐링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오 교수는 “먼 길을 달려왔을 소비자가 농촌 체험객이자 프로그램 참여자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지 농산물을 구매해 갈 수 있도록 연계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며 “농산물을 판매함으로써 농장과 지역경제가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힐링산업이 작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이어 “이를 위해 농업인은 전략적으로 농가운영에 임해야 하며 음식은 물론 숙박 시 필요한 침구 등도 해외여행과 견주어도 손색없게 신경 써야한다”고 조언하며 “앞으로 힐링은 농촌을 살리는 주요한 산업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해양수산부의 휴양치료사업에 관광과 힐링이 맞물려 전개돼야 한다는 의견 ▲산림청의 산림에 매년 126만 명이 방문하지만 산림치유프로그램에는 21만 명으로 전체 17%만 이용하고 있어 힐링산업 활성화를 통해 치유프로그램의 이용률 재고에 대한 다양한 의견 등이 개진되며 힐링산업 활성화에 중앙부처의 뜨거운 관심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