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농촌일자리 취업을 위해 정부가 파격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아이디어와 비전을 갖춘 청년창업농을 선발해 창업자금과 임대형 실습시설, 컨설팅은 물론 매월 최대 100만 원씩 최장 3년간 정착금도 지원한다. 급속한 농촌 고령화로 농업의 지속가능성이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또 농촌의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농촌공동체회사를 통해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한다. 내년부터 농촌공동체회사가 만39세 이하의 청년을 고용하면 인건비를 최대 100% 지원하고, 청년이 농촌공동체회사를 창업하면 창업자금 등도 지원한다.

블루오션을 농업농촌에서 찾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이러한 농촌에서의 청년 일자리 창출이 고령화된 농업농촌에 얼마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냐는 점이다. 청년들의 농촌 취업은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결혼 기피, 저출산 등도 고려해야 한다. 수억을 벌어도 농촌총각과는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여성들의 인식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차이가 없다.

일자리도 중요하지만 그들이 정착해 생활할 제반 여건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농촌 활력화와 지속가능한 농업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농촌 일자리 창출은 삶의 질 향상과 결부시켜 고려해야 할 사안이다. 수십 년 농업관련 일을 하며 귀농·귀촌을 부르짖던 공무원들도 정작 ‘은퇴 후 귀농하겠냐?’는 질문에는 고개를 갸우뚱한다. 일과 돈이 우선이 아니라는 얘기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주공간을 만드는 게 우선임을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