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이 취약한 농촌주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 확대와 지자체의 지역개발사업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재 농촌마을을 경유하는 노선버스의 평균 운행횟수는 하루에 6.1회에 불과하고, 농촌인구 감소로 인해 운수업체의 농어촌버스 보유 대수도 점점 줄어드는 상황이기에 그렇다. 최근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교통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통서비스 개선사업을 확대하고 있지만 현재의 사업 형태로는 대상지역과 수혜자 범위를 확대하기 어렵고 지속성 확보도 쉽지 않다.

이런 가운데 충북 옥천군 안남면의 경우, 지역공동체 활동 일환으로 면소재지에 조성된 작은도서관과 연계해 미니순환버스를 운영해 시설이용도를 높이고 농촌주민의 교통복지도 충족시키고 있어 눈여겨 볼만 하다.

이처럼 지역 여건과 지속가능한 교통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지자체 중심의 지역단위 교통서비스 운영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기존 택시나 버스 운수업체 보조 방식에만 의존하면 사업 지속성이 약하고, 농촌생활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도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 단체·조직을 주체로 한 커뮤니티 시설·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읍면 소재지 권역을 중심으로 하는 농촌형 교통모델 도입 시에 해당 지역의 농촌개발사업을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보편적 복지는 복지서비스 사각지역인 농촌에서 더 확대돼야 한다. 제반 복지인프라 부족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농촌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농촌 교통복지의 도입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