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산업의 메카 경산, 전국 생산량의 70% 차지

▲ 지난 2011년 건립된 경산종묘기술개발센터는 향후 바이러스 검정기관과 무병묘 처리기관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종묘산업특구 지정…기술개발센터와 유통센터 건립
향후 바이러스 검정기관·무병묘 처리기관 지정 추진 계획

특구 지정 후 생산액 2배 성장
1912년 한 일본인의 뽕나무묘목에서 시작된 경산종묘산업은 10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역사는 지금도 이어져 연간 3000만주를 생산해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장미의 경우 점유율이 90%를 육박해 전국 최대 묘목 생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금의 영광이 있기까지 지난 2007년 ‘종묘산업특구’ 지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산 하양과 진량 일대 면적 415ha에 이르는 이 특구는 국비를 지원받아 종묘기술개발센터와 종묘유통센터를 건립했고, 각종 규제특례도 받고 있다. 특구 이정 이전에 313억 원이던 생산액이 현재는 600억 원까지 성장한 것이다.

그럼 경산종묘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우선 이곳을 지나는 금호강 주변 일대는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를 갖추고 있다. 거기다 기상재해도 적어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종묘업의 특성상 대를 이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경산 역시 회원 500여 명의 경산묘목조합이 2006년부터 설립돼 경산종묘산업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2008년부터 3년간 진행된 ‘경산종묘클러스터 사업’은 인력양성과 종묘생산자 교육에 중점을 두고 추진됐다. 이외에도 경산종묘 100년사 발굴과 신품종 개발을 주도했다. 그 결과 2012년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 최우수 사업단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종묘기술개발센터 내 바이러스 검정실(좌)과 조직배양실(우) 모습.

기술개발센터·유통센터, 발전의 양대축
경산종묘산업특구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지역특구평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같은 좋은 평가의 배경에는 종묘기술개발센터와 종묘유통센터가 있다. 기술개발센터는 과수 신품종 육성과 종묘 바이러스·바이로이드 검정으로 무병묘 생산에 역점을 두고 있다. 유통센터는 경산묘목조합이 주축이 돼 집하장, 선별장, 저온창고 등을 운영해 농가들이 무료 또는 저렴하게 이용하게 하고 있다.

특히 종묘기술개발센터 종묘담당으로 올해 부임한 경산시농업기술센터 이진숙 지도사는 센터의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했다.

“우리 센터는 조직배양실, 순화실, 연구실, 바이러스 검정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농진청으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아 바이러스 검정실에 핵산자동추출기, 자동전기영동장치 등 21종의 최신설비를 갖춰 과수묘목의 바이러스·바이로이드 검사를 실시합니다. 사과, 포도, 복숭아 등에서 절반이 넘는 바이러스 감염은 생산량 감소, 당도 저하, 착생과 생육 불량, 기형과 발생 등을 일으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바이러스를 조기발견하고 감염주 제거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양실에서는 과수 무병묘 생산을 위해 열처리(바이러스 활성 억제 목적), 식물조직 배양과 바이러스 검사를 병행해 농가에게 무병묘를 보급하고 있다.

종묘기술개발센터는 앞으로 2가지 목표를 정해두고 있다. 바로 과수바이러스 검정기관과 무병묘 처리기관 추진이 그것이다. 2016년 기준 무병묘 공급률은 4%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농식품부는 올해 보증묘 기준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의무화하고, 바이러스 피해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험포를 조성해 무병묘 공급률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종묘기술개발센터는 이미 2015년부터 묘목농가의 모수(母樹)에 대해 매년 2회씩 감염심태를 조사해 미연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돕고 있다.

현재 무병묘 체계가 농진청이 원원종(종묘증식의 근원이 되는 종)을,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가 원종을, 거점 묘포장이 보급종을 공급하는 있다. 허나 처리기관 부족으로 농가가 선호하는 품종을 확보하고 조기에 보급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처리기관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 경산종묘산업특구는 2007년 지정을 받아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생산액은 600억 원에 이른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