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시장의 성장세가 폭발적이다. 그 중 특히 농업의 4차산업혁명 상징이할 할 수 있는 농업용 드론이 성장의 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20~30대 수준이던 것이 농협 등 기업에서 개인 소비자로 확장되면서 작년에만 800대 정도가 생산됐다고 추정된다. 이에 정부도 드론산업 육성법을 만들어 2021년까지 농업용 드론을 포함해 4000대 규모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농업용 드론 업계 관계자는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정부의 태도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국내 산업용 드론기업 3000여 개 중 90% 이상이 1~2인 기업일 정도로 굉장히 난립돼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최소안전장치인 검정제도를 간소화해 달라는 업계의 요구를 검토 중인 정부 입장은 잘못됐다고 관계자는 지적했다.

정작 시급한 건 항공안전기술원이 독점하고 있는 안전성인증 절차라는 것이다. 이 절차는 생산되는 드론 모델 중 일부가 아닌 모든 생산제품을 검사할 뿐만 아니라 이미 판매된 제품이라도 업체가 일일이 회수해서 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모든 비용을 업체가 다 부담하는 건 그렇다 치더라도 무인헬기부터 시작된 독점은 드론산업 육성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항공안전기술원이 안전성인증과 농업기계검정을 모두 맡는다는 정부의 발표도 우려스럽다.

최소한 이제 비상을 시작하는 농업용 드론시장의 날개를 꺾는 자가 정부라는 말은 듣지 않아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