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업전문지 기자단 간담회 열어 추진상황 공유

▲ 농식품부 김정욱 유통소비정책관(왼쪽에서 세 번째)는 지난 15일 전문지 기자단 간담회에서 PLS와 관련해 정부의 추진상황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시행이 점차 다가오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를 필두로 정부는 농업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투입키로 했다. 지난 15일 농식품부 김정욱 유통식품정책관은 농업전문지 기자단 간담회서 PLS 관련 정부의 추진상황을 상세히 소개했다.

우선 정부 주도의 ‘민관합동 T/F’(이하 T/F)와 지난 3월30일 발족한 민간 주도의 ‘농약 바르게 사용하기 운동’의 투-트랙 전략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T/F는 4월부터 13개 시도별로 구성돼 중앙-지방간 협업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강원도의 경우 지자체, 농업기술원, 보건환경연구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강원지원 등이 참석해 교육과 홍보, 현장 애로사항 청취, 농약사용 실태조사 등을 펼치기로 했다. 또한 T/F는 광역지자체에서 시군으로 구성을 늘려가기로 했다.

특히 PLS 실시로 가장 혼란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소면적 작물(재배면적이 1000ha 이하의 국내 216작물이 해당)의 경우, 농약 직권등록시험 예산 127억 원을 투입해 효과시험과 잔류시험을 동시에 추진해 되도록 많은 농약이 일시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올해 84개 소면적 작물을 대상으로 직권등록을 추진해 1670개 농약 등록을 정부는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1월까지는 상반기부터 재배하는 상추, 들깨잎 등 46개 작물을, 내년 4월까지는 하반기에 재배하는 대추, 조, 수수 등 38개 작물의 등록을 마친다는 계획도 밝혔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70만 명 이상의 농업인, 공무원, 농약판매상 등을 대상으로 농식품부, 농진청, 지자체 등이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다양한 교육과 홍보를 펼쳤다. 그리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주도로 5월 중에 ‘농산물 안전사고 가상훈련’을 실시해 다양한 가상상황을 설정해 적합한 행동요령을 점검하고 보완키로 했다.

이날 간담회서 김정욱 유통소비정책관은 현장에서 제기된 애로사항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설명했다. 김 정책관은 “PLS 시행으로 현장의 어려운 부분은 ▲소면적 작물의 미등록농약 존재 ▲비산·토양잔류와 같은 비의도적 농약잔류 ▲장기간 재배·저장 농산물의 적용시점 ▲고령농업인 인식 부족 등을 꼽았다”고 설명하며,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 고령농·농약판매상·소비자 등 대상별로 교육과 홍보, 소면적 작물의 농약 직권등록시험 완료 등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