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등 건강문제를 조사·연구하고 농업안전보건교육과 홍보 등을 수행하는‘농업안전보건센터’를 확대 지정하고 역할도 더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농업안전보건센터는 농림축산식품부가 2013년부터 각 도 대학병원이나 의과대학에 8곳을 지정해 운영해왔지만 한양대병원(경기)과 동국대학교(경북), 충북대병원(충북) 등은 최근 2년새 지정이 취소돼 현재 전국에 5곳만 운영되고 있다. 

이 같은 농업안전보건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지가 최근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는 점점 줄어드는 센터로 인해 농업인의 건강질환 연구가 퇴보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더 이상 센터가 줄어들어서는 안 되고 최소한 각 도에 한 곳은 의무적으로 지정해 운영돼야 한다는 게 참석자들의 한 목소리다. 또 센터가 그간의 결과를 기초로 농업인의 질병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질 높은 예방·진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센터별 연구질환의 전국 확대를 위해 총괄운영센터를 설립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토론회에 여성농업인 대표나 청중으로 참석한 농업인들은 농업안전보건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무엇보다 농업안전보건센터 확대 운영과 세심한 사업평가를 통한 건실화 방안을 세우고, 센터가 농업인들의 직업적 질환관리의 종합적 컨트롤타워로서 안전한 농업, 건강한 농업인을 실현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농업인의 건강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농업인력의 손실과 사회적비용 증가라는 국가적 문제임을 정책당국은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