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 조정훈소장

통일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필요
통일 한반도를 책임질 인재양성에 주력할 터

아주대학교는 젊은 세대들에게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남북통일의 필요성을 주지시키는 통일교육 목적의 통일 연구소를 설립·운영 중이다. 
또한 통일 이후 7300만 남북 국민이 힘을 모아 부국국가 만들기를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아주대학교 통일연구소 조정훈 소장(국제대학원 교수)을 만나 통일시대 준비와 교육사업 추진 내용을 알아봤다.

통일교육 선도대학·경기 남부 통일교육센터 사업 동시 선정된 유일한 기관
“‘남북통일 한반도 평화정착’은 남북 7300만 우리 민족의 절실한 염원이 모아져야 됩니다. 안타깝게도 요즘 젊은이들은 남북분단의 아픔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남북통일의 필요성이나 관심도 아주 저조하죠.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경제개발과 민주화라는 업적을 누리고 즐기면서 살아갈 것이 아니라 우리 청년들이 사회주역이 돼야 합니다. 우리 청년들이 이러한 시점에서 자신들의 어젠다(agenda)로 들고 나올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통일’입니다. 남한의 높은 기술력과 자본력, 북한의 질 좋은 노동력과 지하자원을 융합하는 남북 통일국가 운영은 세계강국으로 나가는 절호의 기회며, 관건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아주대학교는 통일과 통일 이후를 준비해가고자 하는 첫 번째 시도로 통일에 대한 관심 확대와 실질적인 연구, 실사구시형 교육을 위해 2015년 아주통일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이후 아주통일연구소는 통일부가 주관하는 ‘통일교육 선도대학’ 사업과 ‘지역통일교육센터’ 사업에 선정돼 통일 교육 활성화와 통일 인식 개선, 통일 시대 준비 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아주대학교는 통일 인식에 대해 지금까지의 틀로 무엇이 바뀌었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아주통일연구소의 비전에 뜻을 같이한 기업의 지원이 큰 힘이 되고 있다. 연구소는 지난해 BMW코리아가 쾌척한 3억 원의 기금을 바탕으로 통일과 관련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 시행해갈 계획이다. 

통일트랙·통일마라톤 등 프로그램 통해 통일의식 고취 젊은세대의 통일공감대 절실
이어 아주통일연구소는 첫째 62년간 분단으로 빚어진 남북 간 정치의식과 생활문화, 언어, 과학기술, 보건의료 등 각 부문의 격차를 해소하고 동질감을 조성하기 위해 북한진출 교육요원 육성을 우선으로 한다고 말했다. 

아주대학교는 구체적인 통일교과편성과 북한지원 남북 상생 협력사업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아주통일연구소는 ‘통일 트랙’을 만들어 각 전공과 실질적으로 접목된 통일 교육을 펼쳐가려 하고 있다. 이러한 교과운영 부분의 통일트랙과 비교과활동 부분의 통일마라톤 두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일의식 이론교육과 실기실습교육을 실시 중이라고 설명했다.

둘째, 통일 이전이라도 남북 간 화해분위기가 조성돼 남북 교류가 가능하게 될 것을 대비해 남북 상생 협력사업의 모델개발을 위해 교수와 학생 간 치열한 토의와 연구에 힘쓴다고 전했다.

우리 사회는 남과 북의 특수성에 함몰돼 있지만 현실적으로 살펴보면 북은 개발도상국으로서 최빈국,  취약국가라며 국제사회는 이러한 국가들을 지원한 경험과 교훈을 설명해 갔다. 아주통일연구소는 이러한 관점에서 글로벌 개발협력의 국제적이고 보편적 기준을 남북 관계에 적용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남북협력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사업을 집중적으로 준비해 접근하려 한다고 조 소장은 강조했다.  

“폐쇄된 개성공단의 가동이 재개된다 해도 북한 근로자의 노임율이 150불(한화 15만 원) 내외의 저렴한 노임이기 때문에 보통 200불 이상인 중국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는 이런 소액·소규모의 인도적인 지원은 지양해야 합니다.

우리 통일연구소에서는 미국과 캐나다 국적의 한국 동포 중에 북한을 자주 드나들며 남북교류의 물꼬를 터온 선수급 인사를 북한에 보내 북한 정부나 국영기업 간부와 인도적인 지원사업을 협의하고 있지만 북한 측의 거절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죠. 우리 대학 공대교수가 제안한 태양광 이용 전기 생산과 싼 북한 노임을 이용한 농업부문에서의 대형 스마트팜 개설과 대형 비닐하우스 농사 등도 논의하고 있으나 이 또한 거부해 진척이 없어 안타깝습니다.”

그는 대학이란, 국가나 사회에서 할 수 없는 일, 여러 풍파를 뚫고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곳이며 통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이러한 연장선상으로 학생 대상의 통일교육과 탈북민 대상의 정착지원지도에 힘쓰는 중이라고 말한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성인세대가 갖고 있는 뜨거운 통일염원이 없어 보입니다. 통일에 대한 관심도 거의 없어 보이구요. 어느 날 갑자기 통일이 됐을 때 대비가 없어 걱정됩니다. 이에 저는 청년세대들을 흥분시킬 수 있는 통일교과 만들기와 교육추진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많이 뒤쳐진 북한과 통일이 되면 한발이라도 먼저 갈 준비를 한 사람이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말하면 그제야 학생들의 눈이 반짝반짝해지며 관심을 보입니다. 이처럼 철저하게 실익, 실사구시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된다고 봅니다. 젊은이들에게 통일이라는 중요한 문제를 빨리, 그리고 진지하게 들여다 보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동포애와 탈북민에 대한 올바른 시각 필요
조 소장은 우리 국민 중에 탈북민을 동남아 사람보다 낮춰 보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그래서 탈북민들이 이러한 차별을 더는 견디지 못해 동남아를 비롯해 미국 등 타국으로 이민가는 경우가 많다며 안타까워 했다. 

“초등학생의 자녀를 둔 탈북민의 경우 자녀가 학교에서 북한 사투리 때문에 다른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해 이를 못 견디고 이민 가는 경우가 많은 실정입니다. 노령의 탈북민도 냉대와 소외감으로 우울증을 토로하는 분도 많구요. 따라서 정부는 남한 국민을 대상으로 따뜻한 동포애를 갖고 탈북민과 함께 잘 살아야 한다는 국민 계도 교육을 통해 올바른 시각을 갖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 소장은 이와 관련해 통일연구소 주최로 국민계도교육과 전국 순방 탈북민단체 강의를 다닌다고 한다. 

그는 지난 8월16~19일 경기도 용인에서 남북 청년들이 모여 ‘남북도시개발프로젝트’를 통해 인맥도 쌓고, 의미있는 프로젝트도 함께 하면서 통일국가개발의 좋은 모델까지 제시하는 뜻깊은 행사를 가졌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조 소장은 또 독일 통일에 있어 교회와 학교 두 곳이 큰 역할을 했다며 이러한 인도적·문화적인 민간 차원의 교류를 바탕으로 남북이 통일로 한걸음 다가가는 계기를 마련하고 통일 한반도의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