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가장 성장성 높은 분야는 
농업․식품 관련 첨단기술이다. 
좋은 음식에 대한 인간의 욕구는 
점점 더 커질 거다. 
축산물 친환경 인증제도의 
과감한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 

초유의‘살충제 계란’파동이 났다. 하나의 먹거리에 대한 총체적 불신은 이제껏 없던 일이다. 살충제 계란 사태는 국민들의 먹거리 공포를 확산시켰다. 살충제 계란 파동이 일자 정부 당국의 전수조사에서‘친환경’으로 포장된 제품에서 살충제 성분이 대거 검출됐기 때문이다.‘피프로닐’,‘비펜트린’,‘플루페녹수론’,‘에톡사졸’,‘피리다벤’등 5종의 살충제를 친환경인증 축산농가에서 공공연히 사용했다는 증거다. 국민들은 믿었던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다. 더욱이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출신들이 민간 기업에 재취업해 인증사업을 수행하면서 친환경인증의 총체적 부실을 가져온 것으로 밝혀져 분노를 사고 있다.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의 계란을 친환경으로 인증한 기관의 69%에 농관원 퇴직자인 이른바‘농피아’가 재취업하고 있다.‘신뢰의 인증기관’,‘믿음의 친환경’,‘행복한 사회완성’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등으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인증기관이 도마 위에 올랐다. 초기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담당하다 인증신청농가가 증가하면서 64곳의 민간인증기관이 맡았다. 이번에 살충제 부적합판정을 받은 축산농가 중 상당수가 인증산란장인 것을 보면 인증제도가 무의미하다는 게 현실화 됐다. 땜질처방에도 원인이 있다. 정부나 정치권은 먹을거리 업체의 눈치를 보지 말고 안전한 먹을거리를 위한 근본적인 법안마련에 나서야 한다.  

축사 소독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물질이 엄연히 있다. 동물용의약품 취급규칙 제5조에 따른 동물용의약외품으로 허가 또는 신고 된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가축의 사육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가축이 행복한 농장 조성을 위한 관리자의 의무, 사육환경, 소독 및 분뇨처리 등에 따른 세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축산업 전체의 체질을 확 바꿔야 한다. 정부가 인증하는 친환경 농장이 이럴진대 일반농장은 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라는 게 국민들의 의구심이다. 그간 우리 축산업은 잊을 만하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 등의 파동을 겪어왔다. 그에 따라 국민들의 식탁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계란 파동도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밀집사육이 초래한 결과다. 인간계의 이기심이 낳은 참극이다. A4용지 크기의 케이지 안에서 가둬놓고 사료를 주고 알만 챙기려하니 산란계의 건강은 뒷전이다. 진드기 등 해충이 발생하면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로 대처하는 방식이다. 닭 진드기는 닭이 있는 곳이라면 늘 존재한다. 닭 진드기의 공격으로 닭들은 간지럼에 몸부림치면서 제대로 잠도 자지 못한다. 그래서 해충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수의사의 권장이나 설명 없이 살충제를 쉽게 구해 살포할 수 있었다는 건 큰 문제다. 이런 실정에서는 친환경인증도 허울뿐일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대한양계협회가 친환경 인증을 스스로 반납하겠다고 선언했을까.

동물도 사람처럼 안락함을 추구한다. 숨 쉴 공간을 마련해주는 자연친화적 축산이 그 해결책이다. 친환경 농축산물 인증, 우수농산물관리(GAP)인증,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HACCP) 등 소비자를 위한 친환경인증제도가 있다. 아무리 좋은 제도도 운영·관리 주체가 수박 겉핥기식으로 하면‘무용지물인증’이 된다.‘살충제 계란’을 계기로 믿을 만한 먹거리 징표로 여겨진‘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해썹)’도 허점이 드러났다.‘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전면 재조정하고 엄격하게 지키도록 해야 한다. 사후관리도 현장중심으로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 가장 성장성 높은 분야는 농업 식품 관련 첨단기술이다. 좋은 음식을 먹으려는 인간의 욕구는 점점 더 커질 거다. 축산물 친환경 인증제도의 과감한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