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귀농·귀촌과 농촌복지’ 세미나에서 밝혀

▲ 사진/ 지난 1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어촌복지포럼 세미나에서 김경인 연구원이 ‘귀농·귀촌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농촌지역사회가 귀농·귀촌인이 참여해 재조직화 되고, 자율성을 갖고 고령화와 전통공동체 붕괴 등 지역 문제에 대응해야 농촌에 힘이 된다는 주장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1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농어촌복지포럼과 함께 ‘귀농·귀촌과 농촌복지’ 세미나를 개최,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 정책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2008년부터의 우리나라 귀농귀촌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섰다. 최근 5년간 연평균 2.9%씩 증가하고 있는 귀농·귀촌 추세에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등을 감안하면 향후 5년간 귀농·귀촌 인구 증가는 계속되리란 전망된다.

이런 양적 확대 성과에도 불구하고 귀농 초기 소득 감소와 일자리 부족, 지역민과 갈등은 귀농·귀촌 문제에 있어 해결할 당면 과제다. 또한 귀농귀촌인의 농외소득 확보를 위한 6차산업 등 소득원 연계 정책 강화 방안도 필요하다.

귀농귀촌종합센터 김귀영 센터장은 “귀농귀촌인의 이주 초기 소득 확보를 위한 충분한 사전 교육 등의 준비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지역 주민과의 융화를 위해선 귀농귀촌인은 물론 현지 주민 대상의 융화교육 확대와 지역 내 학습 조직과 동아리 모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김 센터장은 “농업농촌에 관심 있는 청년들은 많지만 그들을 농촌에 머물게 할 도구와 수단 마련을 위한 예산이 부족하다”며 청년 귀농인을 위한 시스템 강화를 요구했다.

농촌 공익적 일자리 창출 가능성은?
농촌사회 변화를 이끌 자발적 결사체 조직을 기존 주민들과 귀농·귀촌인이 함께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섭 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인은 한국 농업 인력 재생산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그는 “농촌의 기존 전통적 지역공동체는 쇠퇴하고 있으며, 그 자리를 대체할 사회복지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이때, 귀농·귀촌인이 사회복지 서비스 시장에 참여한다면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와 동시에 소득도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귀농·귀촌인이 농촌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 연결망 구조에 어떤 방식으로 편입되며,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따라 농촌 지역공동체 내부의 재조직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귀농·귀촌과 관련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정책들이 귀농·귀촌인 개인에 대한 지원과 조력을 넘어서,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란 사회적인 관점으로 대응할 것을 제안했다. 개인보다 특정 목적을 위해 결성된 자발적 결사체 조직에 대한 지원이 더 효과적임도 덧붙여 말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귀농·귀촌인에 더 유연
귀농·귀촌이 농촌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발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경인 연구원은 “농촌의 여성이 남성보다 귀농·귀촌인에 더 긍정적 시각을 갖고있다”고 설문조사 결과를 밝혀 농촌여성의 사회적 유연성을 부각시켰다. 또 “현지인과 귀농귀촌인의 갈등의 원인 중 42%는 귀농귀촌인의 농촌사회에 대한 이해 부족과 마을 행사참여 소홀 등에 원인이 있다”면서 그 해결책으로 현지인과 귀농귀촌인의 화합의 우수 사례 발굴 홍보, 귀농귀촌인 교육과 더불어 현지인 교육도 병행하는 방법 등을 내놓았다.

무엇보다 세미나에서는 귀농·귀촌이 단순한 인구 증가가 아닌 지역사회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기본임을 알고, 기존 주민과의 갈등해소와 협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야 귀농·귀촌의 긍정적 효과인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사회 유지가 가능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또 귀농귀촌인의 농지 부족, 농지 규모화의 어려움 등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대응 강화가 필요함도 거듭 강조됐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