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원 환자 4명 중 1명 재입원…적극적 관리 필요

급성심부전으로 인한 병원 내 사망률이 4.8%를 기록했으며, 퇴원 후 2년 내 사망률은 27.6%로 대장암 5년 사망률인 23.7%보다 높다고 급성심부전레지스토리는 밝혔다.

심부전은 심근경색, 고혈압 등의 질환으로 인해 심장기능이 저하돼 호흡곤란, 발목부종, 피로감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퇴원 후 1년 내 환자 4명 중 1명 재입원하는 등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급성심부전레지스트리 연구진에 따르면 급성심부전 증상으로 입원한 환자의 퇴원 후 6개월, 1년, 2년 사망률이 각각 12.4%, 18.2%, 27.6%로 높게 나타났다.

2011년부터 국립보건연구원은 급성심부전환자레지스트리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전국의 10개 대학병원에서 총 5,625명의 환자를 등록하고 5년간 추적관찰하고 있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급성심부전의 원인질환으로는 허혈성심장질환이 37.6%로 가장 많았으며, 심근병(20.6%), 판막질환(14.3%), 부정맥(10.6%)순이었다. 심부전을 악화시킨 주요 요인은 심근허혈(26.3%), 빈맥(20.4%)과 감염(19.6%) 등이었다.

특히, 입원 시 급성신장기능부전을 동반한 경우 사망위험이 13배나 높았고, 저혈압, 저나트륨혈증을 보인 경우 약 2배 정도 높았다. 반면 베타차단제 투여를 한 경우는 사망위험이 35% 낮았다. 퇴원 후 한 달 이내 7%의 환자들이 다시 입원했고, 일 년 이내 23%가 재입원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이미 보고한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2013년에 1.53%로 2002년 0.75%에 비해 약 2배 증가했고,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2040년도 유병률은 3.35% 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령에 따라 심부전 유병률은 빠르게 증가해 국내 40-59세의 심부전 유병률은 0.8%에 불과하지만, 60-79세에서는 4.3%, 80세 이상에서는 9.5%로 10% 가까운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급성심부전환자의 사망률 감소를 위해 심부전 치료의 표준화와 재입원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적극적 환자관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심부전환자 관리와 치료지침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