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 일자리 창출 역할 논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14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농업·농촌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투자대비 고용효과 큰 농산업…일자치 창출 첨병 역할
고용지원서비스 통일·전문기업 육성·정주여건 개선 필요

통계청의 올해 4월 고용동향에 의하면 전체 실업자 수는 117만4천 명이고, 청년층 실업률은 11.2%에 달한다. 최근 몇 년간 청년층의 실업 증가와 장기화는 전혀 호전되지 않고 우리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갉아먹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촌경제연구원은 새 정부의 가장 큰 화두인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농업·농촌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하는 ‘농업·농촌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새로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지난 1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했다.

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부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국내총생산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감소해 전체 취업자의 5.2%, GDP 비중은 2.2%에 불과하다”며, “농업·농촌의 여건은 ▲농가소득에서 농업소득 비중 감소 ▲농업경영체가 창출하는 농업생산 외 부가가치 증가 ▲도농간 소득 격차 확대 등이 현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또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 지닌 자원을 기반으로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해 경제활성화를 꾀하는 농산업은 타 산업보다 고용창출효과가 뛰어나다”며, “10억 원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취업자 수를 나타내는 취업계수는 산업계 평균이 6.4명인데 반해 농산업은 12.4명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 위원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농촌 지역특화산업 육성의 방향성은 맞지만 과제도 있다며 “고용지원 서비스 지역 격차 존재, 단순가공 중심 산업구조로 고용 불안정, 청년 구직자의 정착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특화산업을 매개로 한 지역 활성화 성공사례로 꼽히는 구례자연드림파크의 민경진 센터장은 “구례자연드림파크는 지역의 농산물을 바탕으로 식품가공·체험·관광이 복합적으로 이뤄진다”면서,  “‘젊은이가 돌아오는 지역’을 모토로 보육·문화시설·기숙사 등 정주 인프라를 구축한 결과 전체 530여 명의 취업자 중 21%가 외부에서 이주한 사람들이다”고 말했다.

민 센터장은 “구체적으로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 원 달성과 1일 8시간 이하 근무, 아이돌봄 시간 확대, 청소년 진로선택을 도와주는 ‘애프터스쿨’ 개소, 청년층 유입을 위해 공공의료 서비스 확충과 락페스티벌·클럽데이 등 즐길거리를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경북 지역에서 ‘Smart 두레공동체’사업으로 도농순환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는 박상우 경북대학교 교수는 “이 사업은 도농간 노동 순환프로그램으로 노동력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노동력 순환에서 더 나아가 로컬푸드매장인 ‘두레장터’로 지역의 농산물 순환으로 도농 상생발전 영역까지 사업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구인·구직과 농산물 구매 전용 앱으로 접근성 확대, 농어업인력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 도농순환공동체 바우처 도입 등으로 이 사업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박순연 창조농식품정책과장은 “정책 추진에 있어 현장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 청취는 가장 중요하다. 이번 토론회에 언급됐던 농산업 고용을 위한 종합포털사이트 구축과 농작업안전보험 적용범위 확대는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박 과장은 “농식품부는 앞으로 농업 기계화와 스마트팜 확산으로 신규 창업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청년 일자리 확대·벤처창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농촌의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여성과 도시 은퇴자들을 발굴하고 반려동물·산림치유 등 농산업의 신수요 창출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