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환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장

▲ 김봉환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장

GAP는 소비자와의 신뢰…
농산물 안전성 담보하기에
개방화시대 경쟁의 버팀목

시장이나 마트에서 농산물을 고르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오감(五感)을 총동원해 신중을 기한다. 우선 눈으로 외관을 꼼꼼히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코로 향을 맡아본다. 그리고 손으로 들어 무게를 재어보거나 시식을 할 수 있을 때에는 맛을 보며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여기에 한 가지 더 살펴봐야 할 것이 있다. 바로 GAP 마크를 확인하는 것이다.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는 소비자가 우리 농산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안전성을 인증하는 ‘농산물우수관리인증제도’다. 농산물의 생산, 수확후관리, 유통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유럽연합, 미국, 캐나다, 일본 등 농업선진국에서는 수년 전부터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GAP제도를 시작했다. 정부의 강력한 GAP정책의지 표명과 GAP 확대를 위한 관계기관의 협력으로 2014년 이후 GAP인증 농산물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체농산물의 50%를 GAP인증 농산물로 유통시킨다는 목표아래 농업인은 물론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생산기반 확충, R&D, 교육, 홍보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66%가 GAP인증 농산물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43%였던 점을 감안한다면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요구가 높아졌다는 것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GAP 확산은 소비자들의 제도 인식과 구매방법의 변화도 한 몫 하지만, 무엇보다 농업인들이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실천하는 일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농산물 재배면적의 5.3%만 GAP인증을 받았다. GAP인증농가도 전체농가의 6.9% 수준에 머물러 있다.

농업선진국에 비해 낮은 GAP인증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의 참여가 중요하다. 그렇다면 농업인들이 GAP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농장에서 식탁까지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공급하는 것은 예방이 최선’이라는 원칙 아래 몇 가지만 실천하면 된다.

첫째, 농업인 스스로가 자정활동을 통해 농작물을 생산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면 건강한 땅에서 자란 농산물은 누구나 믿고 먹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작물별로 농약의 사용횟수와 살포시기 등 잔류허용기준을 준수해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해야 한다. 셋째 신선농산물을 수확하면서 손 씻기, 위생장갑 착용, 청결한 수확용기 사용 등 기본적인 위생지침을 준수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산물을 생산해야 한다. 넷째, 꼼꼼한 영농기록이다. 매년 비료 주는 양, 농사 방법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정리하면 다음해 농사에 큰 도움이 된다.

GAP인증은 소비자에게 우리 농산물을 구매하는 기준이다. 농업인에게는 소비자와 신뢰를 쌓는 연결고리가 된다. GAP인증이 생산자에게 당장의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없지만, 우리 농산물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때문에 개방화시대에 따른 수입 농산물과의 경쟁에서도 앞서 나갈 버팀목이 된다. 더 나아가 우리 농산물의 수출을 유리하게 만드는 가늠이 된다.
농업인의 자발적 참여와 실천이 GAP제도 활성화의 시작이다. 할 수 있다는 농업인의 의지가 GAP제도 확산의 구심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