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위원회와 교장·교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에 달하고 4급 이상 공무원 등 공공부문 7개 분야의 여성비율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국무회의에 보고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 2016년 이행실적 내용이다. 이 같은 성과는 공무원의 경우 고위공무원단 승진후보자 3배수 이내에 여성을 포함시키도록 권고하고 있고, 고용노동부가 개선조치 미이행 사업장 명단을 공표하는 제도를 도입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지난해 처음으로 500인 이상의 주요 지방공기업에 대해 여성 관리직 목표제가 도입된 것도 여성대표성이 높아진 이유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여성대표성 수준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현재 여성 관리직 비율은 우리나라가 10.5%, 스웨덴 39.8%, 미국 43.4%, 영국 35.4% 등으로 OECD 평균인 37.1%에 한참 못 미친다.

농업농촌 쪽으로 눈을 돌리면 여성의 의사결정 참여는 더욱 부진하다. 지역농협에서 여성임원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지역농정심의회 등에서도 여성의 발언권은 미미하다. 우리의 농업정책이 양성평등과 거리가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전통적 가부장적 사고방식이 잔존해 있는 우리 농촌에서 여성들의 목소리는 담 밖을 넘기가 힘들다. 이제 우리 농업농촌에서 여성의 역할은 수치상으로 보더라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 왔다. 그에 걸맞은 정책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선후보들도 이러한 점을 새겨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