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풍년으로 인해 남아도는 쌀을 해결하기 위해 농정당국이 묘책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정부는 벼 재배면적 3만5천㏊를 감축하고 사료용·복지용 쌀 공급을 확대해 재고부담을 줄이면서 쌀 가공제품 개발 등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중장기 쌀 수급안정 근본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쌀 적정생산 유도와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 직불제 개편도 추진 중이다.

하지만 벼에 비해 낮은 밭작물 기계화율과 작목전환에 필요한 새기술 습득, 시설·장비 투자, 쌀에 비해 낮은 소득 안정성 등으로 적극적인 타작물 전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재배면적 감축과 고품질화를 통해 올해 쌀 생산량 목표를 395만~400만 톤으로 잡고 논 타작물 재배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에 대비해 수매 확대, 수입물량 조절, 농업수입보장보험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쌀 적정생산에 적극 참여하는 지자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는 별도로 식량원조협약에 연내 가입해 내년부터 5만 톤의 쌀을 원조해 구조적 공급과잉을 완화할 방침이다.

소비자들의 식습관 변화와 인구정체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쌀 소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서구화된 소비자들의 입맛을 쌀로 되돌리는 게 쉽지는 않다. 결국은 적정생산을 위한 재배면적 감축이 쌀 수급조절의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다. 이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물론 여기에는 평생 땅을 지키며 국민의 식량을 책임져 온 농업인에 대한 배려와 정부, 지자체의 아낌없는 지원이 우선돼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