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을 앞두고 재래시장 방앗간에는 가래떡을 뽑느라 분주하다. 설날 즐겨 먹는 떡국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담은 ‘동국세시기’에 보면 떡국은 색깔이  희다고 ‘백탕’, 떡을 넣었다고 ‘병탕’ 또는 ‘나이를 먹는 떡 즉, 첨세병(添歲甁)’이라고도 했다. ‘떡국 한 그릇을 먹으면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뜻이 담겨있다.

설 명절에는 밥 대신 떡국으로 차례를 올리고 가족의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했다. 떡국을 만들기 위해 긴 가래떡을 뽑는 것은 가래떡처럼 질기게 오래 살라는 뜻이 담겨 있다. 가래떡을 동전처럼 동그랗게 썬 것은 조선시대 엽전모양에서 비롯됐는데 부자가 되길 기원한 것이다.

외국에서도 새해에는 다양한 음식을 가족과 함께 나눠 먹고 새해 소원을 빈다. 중국의 경우 떡국과 유사한 ‘딤섬(만두 일종)’을 만들어 먹는다. 만두 피 속에 사탕, 찹쌀떡, 동전, 국수 등 다양한 소를 넣어 빚는데, 두부와 배추는 안전과 평화, 사탕은 행복, 찹쌀떡은 승진, 국수는 장수를 가져오고, 동전을 넣은 것이 나올 경우 행운과 금전운이 있다는 등 명절음식에 의미를 부여하고 덕담도 나눈다.

떡국과 관련해 ‘꿩 대신 닭’이란 속담이 있다. 쇠고기가 귀했던 옛날에는 꿩고기를 넣었으나 꿩고기조차 구하기 어려운 서민들은 꿩 대신 닭고기를 사용해서 유래된 속담이다.
개성지방에는 조랭이 떡국, 충청도에 구기자, 다슬기, 미역생떡국, 전라도에 두부떡국, 굴떡국, 경상도 지역에 메밀떡국 등이 유명하다. 최근에는 흑미 등 유색 쌀을 가공해 만든 오색떡국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떡국 한 그릇이라도 이웃과 함께 나누고 가족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훈훈한 설 명절이 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