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분야 높고, 의사결정 분야 낮아

성평등 상위 지역, 강원·대전·서울·제주

2015년 국가성평등 지수는 70.1로 2014년 68.9에 비해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지수 측정 이후 매년 조금씩 상승 추세다.

여성가족부는 우리나라 전체와 시도별 양성평등 수준을 파악해 매년 국가 및 지역 성평등 지수를 측정 파악한다. 경제 활동과 의사 결정 등 8개 분야로 나눠 측정되며 완전 성평등한 상태를 100점으로 산정한다.

8개 분야별 성평등 지수를 분석하면, 보건 분야가 95.4로 가장 높았다. 교육·직업 93.4, 문화·정보 87.1, 복지 71.6, 경제활동 71.5, 가족 70.0 의 순이다. 안전은 55.4, 의사결정 분야는 25.4로 낮았다. 이는 아직까지 의사 결정과 안전 분야에 여성이 불평등해 개선 여지가 많다는 의미이다.

2015년 지역 성평등지수를 16개 시·도별로 4등급(상위 중상위 중하위 하위)로 나눠 분석한 결과, 강원·대전·서울·제주가 상위지역에, 경북·울산·충남·전남이 하위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활동 분야에서는 제주가 75.6으로 가장 높았다. 의사결정 분야에서는 서울이 43.3으로 최하위인 경북의 17.0에 비해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교육·직업훈련에서는 각 지역의 점수가 비슷해 직업교육 훈련의 경험률과 고둥교육 기관 진학률에서는 지역간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냈다. 성평등 지수가 높은 보건 분야에서 제주 서울 전북 대전 광주는 모두 98점 이상을 기록해 거의 양성평등에 근접한 양상이다.

안전 분야에서는 전남 78.4, 전북 77.8로 가장 여성이 안전한 곳으로 꼽혔다. 반면에 안전분야에서 서울은 점수가 52.4로 가장 취약했다.

성평등 의식과 문화 확산, 일·가정 양립 분위기 조성이 국가 성평등 지수가 매해 상승하는 요인이라 풀이된다. 하지만 양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려기 위해선 .국회의원, 고위 공직자와 관리자 등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성 비율의 획기적 증가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