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모두 근무혁신을 위해 ‘정시퇴근’ 가장 필요하다고 꼽아

고용노동부는 지난 22일(목) 대한상의에서 관계부처, 경제5단체, 여성경제인단체,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용노동부 차관(고영선) 주재로「제4차 일·가정 양립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실천방안을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기업(52.8%)과 근로자(53.5%) 모두 근무혁신 10대 제안 중 가장 필요한 분야로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정시퇴근)’를 꼽았다.

근무혁신 제도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기업(82.6%)에 따르면, ‘정시퇴근’을 위한 제도를 가장 많이 운영(71.4%)하고 있으며, 가장 잘 실천되는 항목(56.3%)과 실천되지 않는 항목(40.5%) 모두가 정시퇴근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정시퇴근을 기업과 근로자가 모두 중요한 분야로 인식해 많은 기업이 제도로서 도입했지만, 현장의 실천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제도적 안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근로자는 근로시간이 끝나고 30분 이후 2시간 이내에 퇴근하면 야근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비율이 50.2%에 달해 장시간 근로가 관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근로 단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요인으로 근로자는 ‘사내눈치법 등 직장 내 문화개선’(23.4%), 기업 인사담당자는 CEO의 관심(33.3%)‧업무량의 조정(27.9%)을 꼽았다.

상급자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30.4%), 노력(29.0%)이 저조하고, 일‧가정 양립 제도 활용으로 사내눈치(41.11%), 직장 내 괴롭힘도 발생(20.0%)하는 등 일하는 문화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근 후 업무연락을 받은 경우는 74.0%에 달하고, 급한 업무처리로 인한 업무연락은 42.2%이며, 55.4%는 관행화된 장시간 근로에 기인한 업무연락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날 민관협의회에서는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및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정부와 경제단체가 힘을 모아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정착에 나서기로 했다.

’17년 말까지 공공부문 및 5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미활용 기업 제로(zero)’를 목표로 ▴홍보․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감독․처벌도 한층 강화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우선, ▴모성보호제도 알리미 서비스 확대①, ▴임신․출산․육아 박람회 홍보 등 임신․육아기 여성근로자 대상 홍보를 강화하고, ▴컨설팅, ▴재정지원② 등 사업주 지원도 확대하며, ▴우수사례 전파, ▴CEO․인사담당자 대상 전문교육, ▴대국민 캠페인 등 인식개선과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 노력도 지속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민관협의회는 내년에도 중앙-지방단위의 “일·가정 양립 민관협의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핵심과제로서 ‘근무혁신 10대 제안’을 기업 현장에 정착시키고 특히,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정착’과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 (정시퇴근)’에 집중하여 국민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체감도를 높이고 기업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뜻을 모았다.

고영선 고용부차관은 “그간 민관협의회 구성·운영을 통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 직장문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내년에는 근로자가 체감하는 일·가정 양립 고용문화가 임신 초기부터 시작하여 출산·육아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산’과 ‘정시퇴근’에 민관이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