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식품부·한우협회 등 대책 및 전망

▲ ‘대한민국 한우 먹는 날’ 소비촉진 행사.

외국인 관광음식 코스개발 필요…“근본적으로 김영란법 대상서 제외돼야”

실속형 축산물 소비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 홍보 집중
한우의 가족적 이미지 부각

최근 한우는 출하두수가 줄었는데도 불구하고 소값은 오히려 떨어졌다. 그 만큼 소비가 둔화된 것이다. 이는 부정청탁금지법(이하 김영란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영란법 시행 이후 한우 전문 음식점은 그야말로 ‘파리가 날린다’. 정부와 축협에서는 소비특별진작을 위해 쇠고기 가격을 낮춰 팔지만 소비자의 마음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실제 한우가격은 급격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한우전문 식당들의 매출액은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40%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업 또는 폐업이나 업종전환을 고민하는 한우 전문 식당도 늘고 있다.
이에 김영란법 시행 이후 쇠고기 소비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봤다.

우수성 홍보하고 맛 보이며 난국 타개
정부를 비롯한 한우 업계는 무엇보다 소비자들에게 한우의 우수성을 알리고 맛을 홍보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증가, 가격 대비 품질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는 소비트렌드에 발맞춰 과대 포장과 과소비 개선을 위한 소포장 등 실속형 축산물 상품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소비자시민모임, 전국한우협회, 대한한돈협회, 농협중앙회, 축산물품질평가원, 홈플러스와 공동으로 지난 25~26일과 오는 12월2~3일 2회에 걸쳐 홈플러스 서울 남현점에서 ‘실속형 축산물 소비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소비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행사를 통해 우수 축산물브랜드 중심의 실속형 축산물 소비 확대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우수 축산물브랜드 경영체에서 출품되는 실속형 상품들은 전시·홍보기간 동안 경제성, 품질, 활용도 등을 고려한 소비자 평가와 심사위원회 평가를 통해 ‘BEST 10’을 선정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축산물 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설날 등 명절뿐만 아니라 연중 지속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산자와 소비자단체, 유통업체가 함께 축산물 소비 홍보는 물론 실속형 시장 맞춤형 상품 개발 등 상생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와 전국한우협회는 ‘한우농가 김영란법 돌파구 찾는다’라는 슬로건 아래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소비 촉진 행사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장에서 10만 여명이 몰리면서 3일간 판매할 한우고기 물량이 하루 만에 동이 났다. 행사 첫날에는 한우 도매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등 한우 소비촉진에 큰 효과가 있었다는 평이다. 적극적인 소비촉진 활동이 다시금 한우산업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가정 소비확대도 하나의 ‘해법’
김영란법 시행 이후 저녁을 가정에서 먹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곧 다가올 연말에도 송년회 등과 단체 모임은 자제하려는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이에 한우 소비를 가정으로 확대해 나갈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실제 군 단위의 한우전문 식당 등 가정소비가 주를 이루는 식당은 김영란법의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한우에 가족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가족소비 문화를 촉진하는 등 현실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한우업계 관계자는 “가격이 높다보니 한우 음식점을 찾는 손님은 줄고 있다”며 “직거래를 통해 저렴한 실속형, 소포장 한우를 가정에서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는 한우가 저렴하다는 인식을 소비자에게 심겨 추석, 설 명절 등에도 소비로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수출을 통해 국내 소비 부진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해외 홍보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 관광객들이 한우를 먹는 것이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관광업계가 힘을 보태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우협회 관계자는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바로 김영란법과 관련해 농축산물을 그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회성 소비 판촉 행사보다는 근본적인 대책이 바로 법적 보완 장치”라며 “피해보전방안이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산업이 안정화 될 수 있는 정책이 만들어져야 축산인들이 일정부분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정부의 정책을 신뢰하며 현업에 종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